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s)

by bluegreen57 2025. 4. 15.
728x90
반응형
SMALL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s)란?

운동장애는 의도적이지 않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거나, 반대로 정상적인 자발적 움직임이 저하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기저핵(basal ganglia), 소뇌(cerebellum), 또는 운동피질 등 뇌의 운동 조절 중추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요 분류

운동장애는 크게 **과운동성 장애(과도한 움직임)**와 **저운동성 장애(움직임 감소)**로 나뉩니다.

1. 저운동성 장애(Hypokinetic Disorders)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대표적인 저운동성 장애
    • 증상: 느린 움직임(운동완만), 근육 강직, 자세 불안정, 떨림(resting tremor)
  • 파킨슨 증후군(Parkinsonism)
    • 파킨슨병 외에도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양한 질환 포함
  • 무동증(Akinesia): 자발적인 움직임의 결여
  • 운동완만(Bradykinesia): 느리고 감소된 움직임

과운동성 장애(Hyperkinetic Disorders)

과도하거나 불수의적인 움직임이 특징입니다.

떨림(Tremor) 주기적인 리듬의 진동 움직임 (예: 본태성 떨림, 파킨슨 떨림)
무도증(Chorea) 빠르고 불규칙한 비의도적 움직임, 헌팅턴병에서 흔함
무정위운동(Athetosis) 느리고 꼬는 듯한 움직임, 주로 손이나 발
근긴장이상증(Dystonia) 비정상적인 근육 수축으로 인해 신체가 뒤틀리는 움직임
틱(Tic) 갑작스럽고 반복적인 운동 또는 음성 발현 (예: 투렛 증후군)
무의식적 간대성 경련(Myoclonus) 짧고 급작스러운 근육의 수축 또는 이완
운동실조(Ataxia) 균형 및 조정 장애, 주로 소뇌 기능 이상과 관련

 원인

퇴행성 질환 파킨슨병, 헌팅턴병
약물 부작용 항정신병 약물 → 지연성 운동장애(지연성 근긴장이상증) 유발 가능
대사성 질환 윌슨병(구리 대사 이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뇌 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감염 또는 염증 소아 Sydenham 무도병 (류마티스열 이후 발생)

 진단 및 평가

  • 신경학적 검사: 임상 증상 관찰
  • 영상 검사: MRI/CT로 기저핵, 소뇌 등의 병변 확인
  • 혈액 검사: 대사성 원인 확인 (예: 구리 수치 → 윌슨병 의심 시)
  • 유전자 검사: 유전성 운동장애 진단 (예: 헌팅턴병)

 치료

약물 치료 도파민 작용제(파킨슨병), 항콜린제, 항경련제 등
보툴리눔 주사 근긴장이상증, 안검경련 등에 사용
수술적 치료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 파킨슨병, 떨림 등에 효과
물리치료/작업치료 운동기능 보조 및 일상생활 개선

 요약

  • 운동장애는 **비정상적 움직임(과잉/감소)**을 특징으로 하며, 기저핵-소뇌-운동피질 회로 이상이 주된 원인입니다.
  • 파킨슨병과 같은 저운동성 장애, 무도병·틱·떨림 등의 과운동성 장애로 분류됩니다.
  • 진단은 임상 관찰+영상+혈액검사, 치료는 약물·보톡스·수술을 포함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