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모델링(Modeling)이란?
모델링이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특히 **사회적 기술(social skills)**이나 문제 행동 수정에 효과적이며, 치료 장면에서도 매우 자주 사용되는 행동주의 치료 기법입니다.
➡ 핵심 원리:
"사람은 타인의 행동을 보고 그 결과까지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
2. 이론적 배경 – 관찰학습(Social Learning Theory)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모델링을 중심으로 한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제시하며, 인간의 학습은 단순한 자극-반응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관찰학습의 4단계 (Bandura, 1977)
주의(attention) | 모델의 행동에 관심을 집중함 |
파지(retention) | 관찰한 행동을 기억으로 저장 |
재현(reproduction) | 기억한 행동을 실제로 따라함 |
동기(motivation) | 행동을 따라 할 동기가 있음 (보상 기대 등) |
3. 모델링의 주요 유형
실제 모델링(Live Modeling) | 실제 인물이 행동을 시범 보임 | 상담사가 직접 적절한 사회적 인사 방법 시범 |
상징적 모델링(Symbolic Modeling) | 텔레비전, 영상, 책, 만화 등에서 모델을 제시 | 동영상으로 대인 관계 기술을 보여줌 |
참여 모델링(Participant Modeling) | 치료자와 함께 행동을 모방하면서 연습 | 치료자가 손을 잡고 함께 행동을 수행 |
코칭 모델링(Coaching Modeling) | 행동 전에 언어적 지시 제공 후 모방 유도 | “자, 이렇게 인사해 볼까?” 후 시범 |
4. 모델링의 적용 단계
- 목표 행동 선정
- 어떤 행동을 학습시킬 것인지 구체화
- 예: 친구에게 인사하기, 손 씻기, 화내지 않고 말하기 등
- 모델 선정 및 시범 제공
- 모델은 신뢰할 수 있고 내담자가 동일시할 수 있는 인물이 효과적
- 치료자가 직접 시범을 보일 수도 있고, 영상 자료 활용 가능
- 관찰 및 파지 유도
- 모델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게 하고, 중요한 요소 강조
- 모방 연습 및 피드백
- 내담자가 직접 행동 재현
- 잘한 점을 즉각적 강화 (칭찬, 격려 등)
- 일상생활 일반화 훈련
- 실제 생활에서 유사한 상황에서도 스스로 행동하도록 유도
5. 실제 적용 사례
사례: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의 인사 행동 훈련
모델 제시 | 치료자가 웃으며 "안녕하세요" 인사 시범 |
파지 훈련 | “방금 선생님이 뭐라고 했는지 기억해?” 질문 |
모방 | 아동이 선생님과 친구에게 인사해보기 |
강화 | 인사를 잘하면 스티커 지급 + 칭찬 |
일반화 | 가정에서도 부모님께 인사하도록 과제 제시 |
사례: 분노 조절 어려운 청소년 대상
- 드라마 속 장면 중에서 갈등 상황에서 차분하게 대처하는 모델을 보여줌
- "이 장면에서 주인공은 어떤 방식으로 화를 조절했을까?" 토론
- 이후 내담자 자신이 비슷한 상황에서 그 행동을 재현하도록 유도
6. 장점
직관적이고 이해 쉬움 | 행동을 시범으로 보여주므로 내담자의 이해도 높음 |
비언어적 행동 학습 가능 |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사회적 신호도 학습 가능 |
사회적 기술 훈련에 매우 효과적 | 대인관계, 문제해결, 감정 표현 등 적용 폭 넓음 |
내담자의 자아효능감 강화 | “나도 할 수 있다”는 느낌 유도 가능 |
7. 유의사항 및 한계
모델의 신뢰성 중요 | 모델이 존경받지 않거나 비호감일 경우 효과 미미 |
모델링만으로는 행동 고착화 어려움 | 반복 연습과 강화가 병행되어야 함 |
모델 행동의 결과도 보여줘야 효과적 | 행동 뒤 긍정적 결과(보상, 칭찬)도 함께 제시 |
인지 능력에 따라 한계 | 발달 수준에 따라 파지나 재현이 어려울 수 있음 |
8. 적용 대상 및 활용 영역
아동 | 사회성 훈련, 자조 기술, 정서 조절 |
청소년 | 문제 행동 수정, 역할 갈등 조절, 또래 관계 개선 |
성인 | 직무 기술 훈련, 대인관계 개선, 역할 연습 |
장애 아동 | 언어 모델링, 자폐 스펙트럼 행동 중재 |
집단 치료 | 역할극, 관찰학습을 통한 집단 사회기술 강화 |
정리
정의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학습이 일어나는 치료 기법 |
기반 이론 |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관찰, 파지, 재현, 동기) |
주요 유형 | 실제, 상징적, 참여, 코칭 모델링 등 |
장점 | 직관적, 사회성 향상, 정서적 동일시 촉진 |
유의점 | 반복 연습, 강화 병행 필수 / 모델의 신뢰도 중요 |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고기록지(Thought Record) 기법 (0) | 2025.07.03 |
---|---|
인지 왜곡 목록 활용 기법 (0) | 2025.07.02 |
점진적 이완훈련 (1) | 2025.06.30 |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0) | 2025.06.29 |
행동주의 치료(Behavior Therapy) (0)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