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검사

CPT : 주의력과 충동 조절 능력 평가

bluegreen57 2025. 4. 21. 13:55
728x90
반응형
SMALL


CPT(Continuous Performance Test, 지속적 수행 검사)는  주의력과 충동 조절 능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신경심리학적 검사입니다. 특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에서 널리 사용되며, 뇌 손상, 학습장애, 정신분열증, 우울증 등의 평가에도 활용됩니다.


 1. CPT검사의 목적

  • **지속적인 주의력(Sustained Attention)**을 측정
  • 선택적 주의력(Selective Attention) 평가
  • 반응 억제 능력(Impulse Control) 확인
  • 경계성 주의력 저하 혹은 과잉행동 등의 특성 파악
  • 약물 치료 전후의 변화 추적 가능

 2. 검사 방식

▪️ 기본 원리

CPT는 컴퓨터 화면에 일련의 자극(예: 숫자, 글자, 기호 등)을 빠르게 연속적으로 제시하고,
피검자가 특정 자극에만 반응하도록 하는 반응 과제입니다.

▪️ 예시

  • “화면에 나오는 모든 글자에는 반응하되, ‘X’가 나오면 반응하지 마세요.”
  • 또는, “숫자 ‘3’이 나오면 키를 누르세요.”

▪️ 검사 시간

  • 보통 10~20분 소요
  • 피로감과 반응 유지력 평가를 위해 일부 버전은 30분 이상 진행

 3. 주요 평가 지표

Omission Error 반응해야 할 자극에 반응하지 않은 횟수 → 주의력 결핍 지표
Commission Error 반응하지 말아야 할 자극에 반응한 횟수 → 충동성 지표
Reaction Time 반응 속도 (빠름/느림 여부)
Reaction Time Variability 반응 시간의 일관성 → 지속적 집중력 평가
Hit Rate 전체 정반응 비율
D-prime (d') 신호탐지이론에 근거한 민감도 지표 (자극 구별 능력)

 4. 주요 CPT 종류

Conners CPT ADHD 평가에 가장 널리 사용됨 (Conners 3 패키지에 포함)
TOVA (Test of Variables of Attention) 성인과 아동 모두 사용, 비교적 구조가 단순
IVA-2 CPT (Integrated Visual and Auditory) 시각과 청각 자극을 함께 사용해 보다 통합적인 주의 평가 가능
CATA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for Adolescents) 국내 개발, 한국 아동·청소년에 맞춤화된 버전

 5. 임상적 활용 예

  • ADHD 감별 진단: CPT 점수가 낮고, Omission/Commission 오류가 높게 나올 경우 주의력 결핍 혹은 충동성 가능성 높음
  • 우울증/조현병 감별: 반응 시간이 느리고, 변동성이 높게 나타남
  • 치료 효과 평가: 약물 복용 전후의 CPT 점수 비교

 6. 장점과 한계

객관적 수치 제공 : 장점 실제 일상생활의 주의력과는 차이 존재 가능  : 한계
시간적 집중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 검사 환경과 동기 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
반복 시행이 가능하여 경과 추적에 용이 검사 전략(기계적 반응 등)을 사용하는 경우 왜곡 가능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