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검사
스피어만(Spearman) 지능 이론
bluegreen57
2025. 5. 5. 11:30
728x90
반응형
SMALL
스피어만(Spearman)의 지능 이론과 그에 기반한 지능 검사는 심리측정학과 지능 연구의 초석이 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1. 스피어만의 지능 이론 개요
영국의 심리학자 찰스 스피어만(Charles Spearman, 1863–1945)은 지능의 일반 요인(g factor)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지능이 하나의 공통된 요인(g)과 과제 특유의 요인(s)**으로 구성된다는 모델입니다.
핵심 개념: 두 요인 이론(Two-Factor Theory)
- 일반 요인(g factor):
모든 인지 과제 수행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지능의 핵심 요소.
예: 문제 해결력, 추론 능력, 학습 속도 등. - 특수 요인(s factor):
특정 과제에만 관련된 지능 요소.
예: 수학 문제 풀이 능력, 언어 이해력 등.
예시: 어떤 사람이 수학과 언어 능력이 모두 뛰어난 경우, 이는 높은 g 요인과 더불어 수학(s₁), 언어(s₂)에 해당하는 특수 요인도 높은 경우로 해석됩니다.
2. 스피어만의 연구 및 검사 방식
스피어만은 다양한 지적 과제 간의 **상관 분석(correlation)**을 통해 이론을 도출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상관 행렬 사용
- 여러 종류의 지능 테스트 점수 간 상관계수를 분석.
- 대부분의 지능 과제들이 서로 높은 상관을 보이는 점에 주목.
- 이를 통해 **공통적인 요인(g)**의 존재를 가정함.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의 시초
- 스피어만은 요인 분석의 선구자로, 통계적 기법을 통해 지능 구조를 설명.
- 현대의 다요인 지능 검사나 지능 구조 이론의 토대가 됨.
3. 스피어만 이론의 특징 및 한계
장점
- 지능의 핵심적인 단일 요소에 집중하여 설명력 높음.
- 많은 지능 검사에서 g 요인을 중요한 요소로 반영함.
- 이후 스턴버그, 캐롤, 캐텔 등 다양한 이론들의 기초가 됨.
한계
- 인간 지능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함.
- 창의성, 사회성, 실용지능 등 비인지적 요소는 제외됨.
- 이후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등에서 이 한계를 보완함.
4. 스피어만 이론이 반영된 검사
스피어만 자체가 고안한 표준화 지능 검사는 없지만, 그의 이론은 많은 현대 지능 검사에 내재되어 있습니다.
대표적 반영 사례
- 스탠퍼드-비네 검사: 다양한 소검사들의 결과를 종합해 ‘IQ’를 산출하며, 이 과정에 g 요인 개념이 반영됨.
- 웨슬러 지능검사 (WAIS, WISC): 언어이해, 작업기억, 처리속도 등 다양한 하위검사 점수 간 상관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체지능지수(FSIQ)를 산출 → g 요인을 반영함.
- 캐텔의 유동 및 결정 지능(FG & CG) 이론에도 영향.
정리
제안자 | 찰스 스피어만 (Charles Spearman) |
핵심 개념 | g factor (일반 지능 요인), s factor (특수 요인) |
이론 유형 | 두 요인 이론(Two-Factor Theory) |
주요 기여 | 요인 분석 기법 도입, g 요인 강조 |
영향 | 현대 지능 검사 및 이론의 기초 제공 |
한계 | 지능의 다면성과 정서·사회성 요소 미반영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