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상심리장애
물품 음란장애(Fetishistic Disorder)
bluegreen57
2025. 5. 28. 07:38
728x90
반응형
SMALL
Fetishistic Disorder(물품음란장애)는 성도착장애(paraphilic disorders)의 한 유형으로, 특정 무생물(예: 구두, 속옷)이나 신체의 비생식 부위(예: 발, 머리카락 등)에 지속적이고 강렬한 성적 흥분을 느끼며, 이것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고통이나 일상 기능의 손상을 초래할 경우 진단됩니다.
1. 정의 (Definition)
Fetishistic Disorder (물품음란장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성도착장애입니다.
- 6개월 이상 특정한 무생물(예: 신발, 속옷, 가죽 등)이나 비생식적인 인체 부위(예: 발, 손, 머리카락 등)를 대상으로 한 강렬하고 반복적인 성적 흥분, 환상, 충동, 또는 행동이 존재하며,
- 이러한 성적 흥분이 실제 성적 활동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거나 상상되며,
- 개인에게 **심각한 고통(distress)**이나 사회적·직업적 기능의 손상을 초래할 경우 진단됩니다.
2. DSM-5 진단 기준
DSM-5 기준에 따르면, Fetishistic Disorder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A.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살아 있는 사람의 생식기 외의 신체 부위나 무생물에 대한 반복적이고 강렬한 성적 흥분(환상, 충동, 행동 포함)
B.
이러한 환상, 충동, 또는 행동이 개인에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고통이나 사회적·직업적·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손상을 초래함
C.
이 물품음란은:
- 여성용 의류(즉, cross-dressing 관련 물품음란은 Transvestic Disorder로 분류),
- 진동하는 물건(예: 진동기) 등, 성적으로 자극을 줄 수 있는 장비에만 국한되어 있어서는 안 됨
3. 주요 유형
- 물체 중심(Focus on objects): 속옷, 스타킹, 가죽, 신발 등
- 신체 부위 중심(Focus on body parts): 발(fetishism 중 가장 흔함), 머리카락, 손 등
4. 원인(가능성)
물품음란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제기됩니다:
- 고전적 조건형성: 사춘기 초기에 성적 각성이 특정 대상과 우연히 연관되면서 강화될 수 있음
- 행동주의 이론: 특정 대상과의 반복된 성적 활동이 강화(reinforcement)되면서 지속
- 정신분석 이론: 오이디푸스 갈등이나 성기불안(castration anxiety)에 대한 무의식적 방어기제로 해석됨
- 신경생물학적 요인: 보상 회로와 도파민 경로의 관련 가능성
5. 유병률 및 경과
- 남성에게서 훨씬 흔함 (거의 전적으로 남성에게만 보고됨)
- 사춘기 전후에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 증상이 일생 동안 지속되기도 하나, 나이가 들며 감소하기도 함
6. 감별 진단
- Transvestic Disorder: 이성의 옷을 입는 것에서 성적 흥분을 느낌
- Sexual masochism/sadism: 고통이나 굴욕, 지배나 폭력을 통해 성적 흥분을 느낌
- 정상적 성적 기호: 고통이나 기능 장애 없이, 파트너와의 합의 하에 진행되는 경우는 장애로 간주되지 않음
7. 치료
정신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성적 환상을 감소시키고, 더 건강한 성적 대상을 형성하는 데 도움
- 역조건화 기법: 혐오치료(aversion therapy), 감각적 포화(sensate focus), 상상 노출
- 심리역동치료: 무의식적 갈등에 대한 탐색
약물치료
- SS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성적 충동 감소
- 항남성호르몬제 (예: medroxyprogesterone acetate): 심한 경우 성적 욕구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
8. 윤리적 고려 및 사회적 맥락
- 자발적·합의적 행동은 법적 문제나 장애로 간주되지 않음
- 비자발적 또는 강압적 행위로 이어지는 경우 범죄화될 수 있음 (ex. 타인의 물건 훔침 등)
- Fetish가 있다고 해서 모두가 장애는 아니며, 기능 손상 또는 고통의 유무가 진단의 핵심
정리
주요 대상 | 무생물 또는 비생식 신체 부위 |
진단 기준 | 강렬한 성적 흥분 + 기능손상/고통 |
유병률 | 거의 전적으로 남성 |
치료 접근 | CBT, SSRI, 심리치료, 역조건화 |
감별 진단 | Transvestic, Sadism, 정상 Fetish 등과 구별 필요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