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치료기법
사고기록지(Thought Record) 기법
bluegreen57
2025. 7. 3. 18:56
728x90
반응형
SMALL
사고기록지(Thought Record)는 인지행동치료(CBT)의 핵심 기법 중 하나로, 자동적 사고를 인식하고 그것이 감정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인지적 재구성(cognitive restructuring)**을 돕는 도구입니다.
특히 우울, 불안, 강박, 분노 등 다양한 정서 문제에서 왜곡된 사고를 교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사고기록지 기법의 핵심 목적
- 자동적 사고 인식: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을 자각.
- 감정과 사고의 연결 파악: 사고가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
- 인지 왜곡 확인: 사고에 포함된 비합리적 또는 과장된 부분을 인식.
- 대안적 사고 생성: 보다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사고를 새롭게 구성.
- 감정 변화 평가: 사고 교정 후 감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
기본 구조 (6단계 사고기록지)
1. 상황 | 강한 감정이나 반응이 생긴 사건/상황을 객관적으로 기술. |
2. 감정 | 그 상황에서 느낀 감정과 그 강도를 수치화(0~100%). |
3. 자동적 사고 | 머릿속에 떠오른 부정적 생각 또는 해석. |
4. 근거 | 자동적 사고를 뒷받침하는 증거나 사실. |
5. 반증 | 자동적 사고를 반박할 수 있는 증거나 다른 해석. |
6. 대안적 사고 | 균형 잡힌 새로운 사고. |
7. 감정 재평가 | 대안적 사고 후 감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기록. |
예시 사례
상황:
회사에서 회의 중 아이디어를 말했는데, 팀장이 아무 반응을 하지 않았다.
감정:
실망(70%), 불안(50%), 수치심(60%)
자동적 사고:
“내 아이디어는 형편없었어. 사람들이 날 멍청하다고 생각했을 거야.”
근거:
팀장이 아무 말도 하지 않았고, 몇 명이 고개를 돌렸다.
반증:
- 팀장은 원래 회의 중에 별다른 반응을 잘 안 한다.
- 예전에 다른 아이디어는 칭찬받은 적도 있다.
- 고개를 돌린 사람은 메모하고 있었을 수도 있다.
대안적 사고:
“팀장이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해서 내 아이디어가 나빴다는 뜻은 아니야. 팀장이 생각 중이었을 수도 있고, 발표 후에 피드백을 줄 수도 있어.”
감정 재평가:
실망(70 → 40%), 불안(50 → 20%), 수치심(60 → 30%)
반복을 통한 훈련 효과
사고기록지를 반복적으로 작성하게 되면:
- 자동적 사고를 빠르게 인식하는 능력이 생기고,
- 감정의 기복이나 왜곡된 해석을 자기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 또한, 감정-사고-행동 간의 연결고리를 스스로 분석하는 힘이 생깁니다.
주요 적용 대상 및 활용 분야
우울장애 | “나는 무가치하다” → 대안적 해석으로 자존감 회복 |
불안장애 | “이건 반드시 실패할 거야” → 현실 검토 통해 불안 완화 |
사회불안 | “사람들이 날 싫어할 거야” → 실제 근거 탐색 |
강박장애 | “이걸 확인하지 않으면 큰일 나” → 과장된 사고 수정 |
성격장애 | 감정과 사고의 고정 패턴에 대한 통찰 강화 |
실전 팁
- 처음에는 치료자와 함께 작성하고, 이후 숙제로 자율 작성하게 합니다.
- 모바일 앱이나 엑셀 양식을 활용해 디지털 기록지로도 가능.
- 시간이 지난 후 동일 상황에 대한 사고 변화를 비교하는 것도 유익합니다.
요약
구조화된 자기성찰 | 감정과 사고를 체계적으로 분석 |
자동적 사고 인식 | 무의식적인 인지 패턴 발견 |
현실 검토 능력 향상 | 왜곡된 생각에 대한 반박 훈련 |
정서 조절 효과 | 감정 반응의 강도 감소 유도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