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치료기법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기법
bluegreen57
2025. 7. 9. 20:37
728x90
반응형
SMALL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는 인지행동치료(CBT)에서 우울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핵심 기법 중 하나로, 특히 무기력, 의욕 저하, 회피 행동이 주요 증상인 내담자에게 널리 활용됩니다.
1. 행동활성화의 개념 정의
행동활성화란, 우울하거나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의미 있고 보람 있는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긍정적 정서와 자기 효능감을 회복시키는 치료 기법입니다.
핵심 전제:
"기분이 좋아져야 행동하는 게 아니라, 행동해야 기분이 좋아진다."
2. 행동활성화의 치료 목표
회피 행동의 인식과 감소 | 우울한 감정을 피하려는 행동 패턴을 줄임 |
유쾌한 경험의 회복 | 즐겁고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보상 경험 제공 |
일상 기능의 정상화 | 활동량을 늘려 일상 루틴을 회복 |
감정과 행동의 연결 인식 | 행동이 기분에 미치는 영향 체험 |
자기효능감 및 동기 향상 | "나는 할 수 있다"는 경험을 쌓음 |
3. 행동활성화의 핵심 구성요소
① 활동-기분 기록표 작성
- 하루 동안 한 활동과 그때의 기분(0~100)을 기록
- 활동과 정서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인식
② 회피 행동 탐색
- 무엇을 회피하고 있는지, 회피로 인해 어떤 결과가 지속되고 있는지를 파악
- 예: “외출 회피 → 고립 → 더 우울함”의 악순환
③ 가치 기반 활동 선정
- ‘즐거움’과 ‘의미’를 기준으로 활동 분류
- 가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계획
④ 점진적 행동 계획 수립
- 쉬운 과제부터 시작하여 점차 어려운 과제로 확장 (행동 사다리)
- SMART 목표 활용: 구체적(Specific), 측정가능(Measurable), 실행가능(Achievable), 현실적(Realistic), 시간 설정(Time-bound)
⑤ 활동 실행 및 피드백
- 계획한 행동을 실행한 후, 그로 인한 기분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
4. 단계별 적용 예시
사례: 우울증 여성, 34세, 하루 종일 침대에 누워 있음
1단계: 회피 파악 | 무기력 상태로 인해 외출, 친구 연락, 청소 모두 회피 | "할 기분이 안 나서 계속 누워있어요." |
2단계: 활동 기록 | 하루 동안 한 일 기록 → 10시 기상, 15시 점심, 23시 취침 등 | 기분: 대부분 20점 이하 |
3단계: 가치 탐색 | 그녀에게 의미 있는 활동은 무엇인가? | "산책, 친구와 통화, 그림 그리기, 카페 가기" |
4단계: 행동 사다리 | 쉬운 과제부터 실행 | "문 열고 베란다 나가기 → 집 앞 마트까지 가보기 → 공원 산책하기" |
5단계: 감정 관찰 | 활동 실행 후 기분 기록 | 산책 후 기분: 20 → 45점 상승 |
5. 활동 유형 분류
기쁨 활동 | 음악 듣기, 좋아하는 드라마 보기 | 즉각적 긍정 정서 유도 |
성취 활동 | 빨래하기, 집 정리, 문서 정리 | 자기효능감 강화 |
대인 활동 | 친구와 연락, 가족과 식사 | 사회적 유대 회복 |
의미 활동 | 봉사활동, 취미 개발, 독서 | 장기적인 가치 제공 |
6. 행동활성화의 핵심 원칙
행동이 기분을 바꾼다 | 기분이 나아질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행동 먼저 시작 |
작고 구체적인 행동부터 시작 | 처음에는 간단한 활동부터 실행 |
회피 대신 접근 | 회피 행동을 멈추고, 실제 상황에 접근하도록 유도 |
반복성과 꾸준함 | 단기적 성과보다 일관성 있는 시도 강조 |
7. 행동활성화의 효과
우울 증상 감소 | 활동 증가 → 보상 경험 → 기분 회복 |
행동 패턴 변화 | 회피-무기력의 악순환 차단 |
정서 조절력 향상 | 행동을 통한 감정 통제 능력 강화 |
동기 회복 | '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 회복 |
8. 실전 활용 팁
- 활동 계획표/기록지를 직접 쓰게 하여 실행력을 높임
- 치료자와 함께 주간 목표 설정 후 다음 세션에 피드백
- 내담자의 에너지 수준, 우선순위, 시간 가능성 고려
- 실패 시 비난이 아닌 탐색적 접근으로: “실행이 어려웠던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요약
정의 | 의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켜 우울감 및 회피 행동을 개선하는 CBT 기법 |
핵심 도구 | 활동-기분 기록표, 행동 사다리, 주간 계획표 |
주요 효과 | 정서 회복, 행동 활성화, 회피 감소, 자기효능감 향상 |
적용 대상 | 주요 우울장애, 무기력, 회피 행동을 동반한 내담자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