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심리검사
투사검사(投射檢査, projective test)
bluegreen57
2025. 3. 23. 16:03
728x90
반응형
SMALL
"투사검사(投射檢査, projective test)"는 개인의 무의식적인 감정, 욕구, 갈등, 성격 특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검사입니다. 응답자가 구조화되지 않은 자극(예: 그림, 문장 미완성, 잉크 얼룩 등)에 대해 자유롭게 반응하도록 유도하고, 그 반응을 분석하여 개인의 심리 상태나 내면 세계를 추론합니다.
핵심 개념
- '투사'의 개념
심리학에서 '투사(projective)'란, 개인이 자신의 내면의 생각이나 감정, 욕구를 외부 대상에 무의식적으로 반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애매한 그림을 보며 각자 다르게 해석하는 것은 그 사람의 내면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비구조화된 자극 제공
일반적인 설문지처럼 '예 / 아니오' 식의 구조화된 질문이 아니라, 정답이 없는 자극을 제시함으로써 피검자의 자유로운 반응을 유도합니다. - 무의식 분석에 유리
자기가 드러내고 싶지 않은 감정이나 충동도, 무의식적으로 반응 속에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자기보고식 검사보다 깊은 심층적 통찰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투사검사의 종류
검사명 설명
로르샤흐 검사 | 잉크 얼룩(잉크블롯)을 보여주고 무엇으로 보이는지 묻는 검사. 피검자의 사고방식, 감정처리 방식, 현실 인식 등을 평가. |
주제통각검사(TAT) | 모호한 상황이 그려진 그림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만들어보게 하는 검사. 성격 구조, 대인관계, 욕구 분석 등에 사용. |
문장완성검사(SCT) | "나는 ___", "내 친구는 ___" 같은 미완성 문장을 보고 이어서 작성하게 함. 사고 패턴, 정서 반응 등을 파악. |
집-나무-사람 검사(HTP) | 집, 나무, 사람을 각각 그리게 하고 그림을 분석. 자아상, 가족관계, 정서 상태 등을 추정. |
동적가족화 검사(KFD) | 가족의 상호작용이 드러나도록 가족을 동적으로 표현해서 그리게 함. 가족 내 역할, 감정, 갈등 등을 평가. |
장점과 단점
장점
- 무의식적인 심리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
- 자기보고식 검사의 방어기제를 우회할 수 있음
- 창의성과 상상력을 평가할 수 있음
단점
- 채점의 객관성이 부족할 수 있음 (검사자 간 해석 차이)
-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가 어렵다는 비판도 있음
- 검사자 역량에 따라 결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
투사검사는 언제 쓰이나요?
- 임상심리: 정서적 문제, 성격 장애, 정신질환의 진단 보조
- 상담: 상담 초기 내담자 파악, 치료 계획 수립
- 아동/청소년 심리 평가
- 법정 심리(예: 아동 성폭력 피해 조사, 양육권 다툼 등)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