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명료화 기법이란?
**명료화(clarification)**는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 촉진 기법으로,
내담자의 말이나 감정, 생각이 모호하거나 혼란스러울 때 상담자가 내담자의 진의를 분명하게 이해하고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지금 하신 말씀이 이런 의미로 이해되는데, 맞으신가요?”
“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 좀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와 같은 방식으로 불분명한 표현을 분명하게 하는 작업입니다.
2. 목적
명료화 기법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담자의 메시지 정확히 이해하기 | 상담자가 오해 없이 내담자의 진심을 파악 |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사고를 정리하도록 돕기 | 자각 및 통찰 유도 |
상담자-내담자 간 라포 형성 | “내 말을 진심으로 이해하려 한다”는 신뢰감을 제공 |
대화의 초점 유지 및 진행 방향 설정 | 주제를 선명히 하여 대화를 깊이 있게 이끌 수 있음 |
3. 구체적인 명료화 기법의 표현 예
상담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명료화 질문 형태
요약형 확인 | “말씀하신 내용을 정리해 보면 ~이라는 말씀이신가요?” |
되묻기 | “방금 ‘힘들었다’고 하셨는데, 어떤 점이 가장 힘들었나요?” |
구체화 요청 | “그 일이 있었다고 하셨는데, 어떤 상황이었는지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 주실 수 있나요?” |
감정 확인 | “그때 정말 억울하셨던 것 같아요. 맞으신가요?” |
선택적 명료화 | “‘그 사람 때문에 더 이상 못하겠어요’라고 하셨는데, ‘그 사람’이 누구를 의미하시는지요?” |
4. 실제 상담 장면에서의 예시
내담자: “요즘 너무 지치고 힘들어요. 다 때려치우고 싶어요.”
상담자 (명료화): “요즘이라는 건 최근 며칠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몇 주 정도를 의미하시는 걸까요?”
또는
“다 때려치우고 싶다는 말은 직장을 그만두고 싶다는 뜻일까요, 아니면 일상 전체를 포기하고 싶은 기분일까요?”
→ 이처럼 구체적 의미를 파악하여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을 더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주의사항
너무 자주 사용하면 대화 흐름 방해 | 자연스럽게 필요한 순간에만 사용해야 함 |
명료화가 곧 해석이나 판단이 되지 않도록 주의 | 상담자의 해석이 아니라 내담자의 진술에 기초한 질문이어야 함 |
“왜요?”는 피하기 | 방어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 대신 “어떤 점에서 그렇게 느끼셨나요?” 등의 질문이 바람직 |
6. 명료화 vs 해석 vs 반영
명료화 | 의미를 분명히 하기 | “그 말을 좀 더 설명해주시겠어요?” |
해석 | 내담자 말에 의미 부여 | “혹시 그 말은 부모님께 인정받고 싶다는 의미일까요?” |
감정 반영 | 감정에 초점 맞추기 | “많이 외로우셨겠어요.” |
→ 명료화는 해석이나 감정의 반영과는 다르게, 사실적 이해와 확인에 중점을 둡니다.
요약
- 명료화 기법은 내담자의 진술에서 모호한 부분을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한 질문 및 확인 과정입니다.
- 이를 통해 상담자는 오해 없이 의사소통하고, 내담자는 자기 인식과 통찰을 촉진받습니다.
- 적절하게 사용하면 매우 강력한 상담 도구가 되지만, 과용 시에는 내담자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어 적절한 타이밍과 표현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완치료기법(relaxation therapy) (0) | 2025.05.24 |
---|---|
벡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0) | 2025.05.21 |
긴장이완법(PMR) (0) | 2025.05.18 |
노출 및 반응방지 치료기법(ERP) (0) | 2025.05.17 |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