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심리학/이상심리장애120

야경증(night terror, 수면 중 공포발작) vs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플래시백(flashback) 비교 설명 . 야경증(night terror, 수면 중 공포발작)과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플래시백(flashback)은 모두 심한 공포 반응과 관련이 있고,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유사한 양상(비명, 혼란, 망상 등)을 보일 수 있으나, 발생 시기, 의식 수준, 기억 여부, 병리적 기전 등에서 뚜렷하게 구분됩니다. 야경증(Night Terror, 수면 중 공포발작) 분류비렘(NREM) 수면 관련 각성 장애 (수면장애로 분류) 발생 시점수면 시작 후 1~3시간 내, 깊은 N3단계 수면 중 의식 수준부분 각성 상태 – 외부 자극에 반응 거의 없음 경험 후 기억대개 기억하지 못함 (기억상실, retrograde amnesia) 행동 양상갑작스런 비명, 공포스러운 표정, 심박 증가, 땀 흘림, 자율신경 항진 .. 2025. 6. 23.
파킨슨병과 vs 렘 수면행동장애(RBD) 비교 설명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과 렘 수면행동장애(RBD)는 단순히 수면장애와 신경계 질환의 동반 수준을 넘어, 신경퇴행성 질환의 초기 징후로서 RBD가 중요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파킨슨병과 RBD의 관계 1. RBD는 파킨슨병의 전조증상 (prodromal symptom)렘 수면행동장애(RBD)는 뇌간의 수면 중 근육 이완을 조절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겨 꿈의 내용을 실제로 연기하게 되는 질환입니다.많은 연구에서 특발성(원인 미상) RBD 환자의 30 ~ 90% 이상이 10 ~ 15년 내에 파킨슨병 또는 관련 질환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특히 RBD는 파킨슨병 이전 수년~수십 년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전조적 신호’입니다. 즉, “RBD는.. 2025. 6. 21.
비렘 수면각성장애 vs 렘 수면행동장애(RBD) 비교 비렘 수면각성장애 vs 렘 수면행동장애(RBD) 비교 발생 시기NREM 수면(3단계) — 깊은 수면 중 : 비렘 REM 수면 — 꿈을 꾸는 단계: 렘 발생 시간수면 시작 후 1/3 이내수면 후반부 (새벽) 의식 수준부분적 각성 상태 (몽롱함)꿈과 행동의 일치로 명확한 의도성 있음 행동 유형수면 중 걷기, 소리 지르기, 두리번거리기, 공포 반응 등 무의식적이고 혼란스러운 행동꿈 내용을 실제처럼 행동 (주먹질, 발길질, 욕설, 도망 등) 눈 상태눈은 뜨고 있으나 의식 없음눈을 감고 있거나 살짝 뜨며, 의식적 반응 가능 꿈 기억거의 없음꿈을 생생히 기억함 연령대주로 어린이, 일부 성인주로 50세 이상 남성 관련 질환뇌전증,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파킨슨병, 루이체 치매 등 신경퇴행성 질환과 연관 치료 접근.. 2025. 6. 20.
비렘 수면각성 장애(non-REM sleep arousal disorder) 개요: 비렘 수면각성 장애란?비렘 수면각성 장애는 비렘 수면 중 특히 깊은 수면(3단계 수면)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분적 각성 상태로, 흔히 다음과 같은 이상 행동이나 자율신경 증상을 동반합니다:혼미한 상태방향감각 상실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부족이 장애는 일반적으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며, 성인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성인에게도 지속되거나 재발할 수 있습니다. 주요 유형혼몽각성(confusional arousals) 잠에서 부분적으로 깨어 혼란스러운 상태에 빠짐 말이 어눌하거나 행동이 어색 외부 자극에 반응이 둔함 일반적으로 침대 위에서 발생, 기억이 없음수면보행증(sleepwalking, 몽유병) 잠에서 부분적으로 깨어 일어나 걷는 행동 수행 눈은 뜨고 있지만 의.. 2025. 6. 19.
강박장애 vs 강박성 인격장애 비교 분석 강박장애(OCD) vs 강박성 인격장애 (OCPD) 비교 분석정의원하지 않지만 침투해오는 강박적 사고(obsessions)와, 이를 중화하려는 반복적 행동(compulsions)으로 특징되는 불안장애 : 강박장애지나친 완벽주의, 규칙과 질서 추구, 통제 욕구로 일상과 인간관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 : 강박성 인격장애 핵심 증상- 강박 사고: 원치 않는 불쾌한 생각, 이미지, 충동- 강박 행동: 불안을 줄이려는 반복 행동 (예: 손 씻기, 확인하기)- 완벽주의: 사소한 오류도 용납하지 않음- 과도한 규칙 준수와 세부사항 집착- 융통성 부족, 타인 통제 욕구자기 인식(insight)대체로 자신이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인식함 → 스스로 고통을 느낌(ego-dystonic)자신의 행동과 사고.. 2025. 6. 8.
강박성 인격장애(OCPD) 1. 개념 정의**강박성 인격장애(OCPD)**는 완벽주의, 통제 욕구, 엄격한 규칙과 질서 추구, 융통성 부족이 특징인 성격장애입니다.이는 **강박장애(OC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와 혼동되기 쉽지만, 본질적으로는 성격의 전반적인 경직성이 핵심입니다. 2. 진단 기준 (DSM-5 기준)다음 중 4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진단됩니다.광범위한 질서, 완벽주의, 정신적·대인적 통제에 대한 집착이 융통성과 개방성, 효율성을 저해할 정도로 지속적으로 나타남.진단 항목:완벽주의로 인해 과업 완료가 지연됨 사소한 세부사항, 규칙, 목록에 몰두일과 생산성에 지나치게 헌신 여가나 인간관계를 희생도덕, 윤리, 가치에 대한 융통성 없는 양심적 태도 상황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2025. 6. 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