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심리학/각종 임상심리6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 : 병적인 거짓말 리플리 증후군이란?리플리 증후군은 지속적이고 병적인 거짓말과 허구적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공식 정신의학 진단명(예: DSM-5나 ICD-10)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사회적·심리적으로 주목받는 비공식 용어입니다.이 용어는 패트리샤 하이스미스(Patricia Highsmith)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The Talented Mr. Ripley)』 속 주인공 톰 리플리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고 다른 사람의 삶을 차지하기 위해 거짓과 범죄를 반복하며 결국 허구를 실제처럼 믿게 되는 인물입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주요 특징지속적인 거짓말반복적인 거짓말을 통해 자신을 과장하거나 왜곡된 정체성을 유지허구의 정체성 구축실제보다 나은 인물상을 만들고 그 .. 2025. 5. 14.
허언증 : 병적 거짓말(Pathological Lying) 병적 거짓말(Pathological Lying), 또는 **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 Mythomania)**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거짓말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적 현상 또는 증상입니다. 일반적인 거짓말과 달리, 병적 거짓말은 명확한 이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습관적이며 자기파괴적 성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단독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종종 성격장애나 다른 정신질환과 공병(comorbidity) 관계를 갖기도 합니다. 1. 정의 및 개념병적 거짓말은 환상이 섞인 거짓말을 습관적으로, 반복적으로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단순한 ‘거짓말쟁이’와는 달리, 스스로도 어느 정도 믿고 있는 경우가 많고,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1891년 Anton Delbrück.. 2025. 5. 14.
사이버불링(Cyberbullying, 사이버 괴롭힘) 1. 정의**사이버불링(Cyberbullying)**이란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메신저, 온라인 게임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특정 개인을 반복적으로 괴롭히거나 위협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전통적인 대면 괴롭힘과는 달리, 시간·공간의 제약 없이 지속적으로 피해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2. 주요 형태비방 (Defamation)온라인 게시판, 댓글, 커뮤니티 등을 통해 특정인을 험담하거나 허위사실을 퍼뜨림괴롭히는 메시지 전송욕설, 협박, 조롱 등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내 피해자를 정신적으로 압박신상털기(Doxing)개인 정보(주소, 전화번호, 가족관계 등)를 무단으로 공개가짜 계정 생성피해자를 모욕하거나 조롱하기 위해 가짜 SNS 계정을 만들어 활동집단 따돌림 (Online Ost.. 2025. 5. 7.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확증편향‘’**은 인지심리학과 사회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사람들이 자신이 이미 믿고 있는 정보나 신념을 확인해 주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그에 반대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1. 정의 요약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어떤 주장이나 믿음을 형성한 이후, 그것을 확인하는 정보에 더 주의를 기울이고, 반대되는 증거나 정보는 무시하거나 덜 중요하게 여기는 인지적 편향. 2. 발생 원인확증편향은 여러 인지적, 정서적 메커니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인지적 효율성뇌는 복잡한 세상을 단순화하려 하며, 기존 신념을 유지하면 사고가 덜 피로함.정체성 보호어떤 신념은 개인의 정체성과 연결되어 있어, 반대 정보는 위협처럼 느껴짐.사회적 소속감특정 집단의 신념.. 2025. 5. 7.
카타르시스(Catharsis) **‘카타르시스(Catharsis)’**는 문학, 심리학, 철학,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각각의 맥락에서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기본적으로는 **‘감정의 정화’ 또는 ‘내적 해소’**를 뜻합니다. 1. 어원 및 고전적 정의어원: 고대 그리스어 katharsis(κάθαρσις)에서 유래하며, 의미는 청소하다, 깨끗하게 하다, 정화하다입니다.**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가 『시학(Poetics)』에서 처음 철학적으로 개념화한 바에 따르면,비극은 ‘공포와 연민을 통해 감정을 정화(catharsis)’하는 수단입니다. 요약:관객은 비극적인 이야기를 보며 ‘공포’와 ‘연민’의 감정을 체험하고, 이를 통해 억눌려 있던 감정이나 욕망을 해소하게 됨 → 심리적 안도감 또는 감정 .. 2025. 5. 2.
트라우마(Trauma) 트라우마란 무엇인가?**트라우마(Trauma)**는 한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심리적 충격이나 상처를 경험한 후, 그 여파가 심리적, 정서적, 신체적 기능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극심한 공포, 무력감, 생존 위협, 상실감 등의 상황을 겪은 후에 발생합니다. 어원고대 그리스어 τραῦμα에서 유래, 의미는 **"상처"**입니다.본래는 신체적 외상(physical injury)을 의미했으나,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심리적 외상(psychological trauma)**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주요 원인트라우마는 상황과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1. 개인적 사건에 의한 트라우마성폭력/성추행가정폭력, 아동학대교통사고, 화재, 강도 등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사별, 이별, 유산 등 중.. 2025. 5. 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