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각종 임상심리

허언증 : 병적 거짓말(Pathological Lying)

by bluegreen57 2025. 5. 14.
728x90
반응형
SMALL

병적 거짓말(Pathological Lying), 또는 **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 Mythomania)**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거짓말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적 현상 또는 증상입니다. 일반적인 거짓말과 달리, 병적 거짓말은 명확한 이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습관적이며 자기파괴적 성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단독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종종 성격장애나 다른 정신질환과 공병(comorbidity) 관계를 갖기도 합니다.


 1. 정의 및 개념

  • 병적 거짓말은 환상이 섞인 거짓말을 습관적으로, 반복적으로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단순한 ‘거짓말쟁이’와는 달리, 스스로도 어느 정도 믿고 있는 경우가 많고,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 1891년 Anton Delbrück 박사가 처음 기술하며 "Pseudologia Fantastica"라는 용어를 제안했습니다.

 2. 특징적 양상

반복성 거짓말을 자주, 습관적으로 함
과장된 내용 허구적인 이야기이되, 매우 상세하고 드라마틱함
자기 중심적 자신의 위치나 이미지를 미화하는 내용이 많음
이득 없음 명백한 외적 이득 없이 거짓말을 함
믿음 거짓을 어느 정도 스스로도 진실이라 믿는 경우 존재
정체성 왜곡 현실 속 자기 모습과 환상 속 모습이 분리되어 있음

 3. 심리학적 원인

병적 거짓말은 하나의 독립된 진단명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심리적·정신병리적 배경과 관련됩니다:

  1. 자기애성 성격장애(NPD)
    •     자기를 과대포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짓말을 사용
    •     인정 욕구가 강하며,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과장된 허언을 함
  2. 경계성 성격장애(BPD)
    •     정체성의 불안정성과 감정 기복 속에서 현실 왜곡이 나타남
  3. 반사회성 성격장애(APD)
    •     타인을 속이고 조종하려는 의도로 거짓말을 반복함
  4. 허언증적 경향의 적응기제
    •     열등감이나 트라우마로부터 자기를 보호하려는 심리적 방어기제
    •     '이야기를 통해 새로운 나를 창조'하는 방식

 4. DSM-5 및 진단 범주

병적 거짓말 자체는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 독립 진단명으로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 범주 안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 성격장애(Cluster B: 드라마틱, 감정적, 변덕스러움)
    •  Narcissistic PD, Borderline PD, Antisocial PD, Histrionic PD
  • 사기 행동을 수반하는 행동장애 및 충동조절장애
  • **사고 장애(Delusional Disorder)**와의 감별 필요

 5. 유사 개념과의 비교

현실 인식 부분적 유지 : 병적 거짓말 완전 상실 : 망상 현실 인식 있음 : 사기
의도 무의식적 또는 자기도착 비현실에 대한 신념 이득 목적
일관성 이야기 간에 단편적 불일치 가능 주제 중심으로 일관됨 목적 중심 일관성
이득 여부 없음 또는 간접적 없음 명확한 금전적/사회적 이득

 6. 임상적 접근 및 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 왜곡된 인지와 거짓말의 동기를 탐색하고 수정
  • 정신역동적 접근
    → 무의식적 갈등, 자아 방어기제 분석
  • 대인관계치료(IPT)
    → 거짓말로 인해 손상된 인간관계 회복
  • 약물치료
    → 동반된 우울, 불안, 충동성 조절을 위한 보조적 개입

7. 문학적·문화적 상징성

병적 거짓말은 다음과 같은 인물 유형을 통해 자주 재현됩니다:

  • ‘자기 신화를 믿는 인물’: 스스로를 영웅 또는 피해자로 설정
  • ‘정체성 유동적 인물’: 현실과 상상을 넘나들며 이야기 속에 잠김
  • ‘현실 회피형 인물’: 현실의 고통을 감내하기 어려워 환상 속으로 도피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