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각종 임상심리

카타르시스(Catharsis)

by bluegreen57 2025. 5. 2.
728x90
반응형
SMALL

**‘카타르시스(Catharsis)’**는 문학, 심리학, 철학, 예술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각각의 맥락에서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지지만, 기본적으로는 **‘감정의 정화’ 또는 ‘내적 해소’**를 뜻합니다.


 1. 어원 및 고전적 정의

  • 어원: 고대 그리스어 katharsis(κάθαρσις)에서 유래하며, 의미는 청소하다, 깨끗하게 하다, 정화하다입니다.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가 『시학(Poetics)』에서 처음 철학적으로 개념화한 바에 따르면,
    비극은 ‘공포와 연민을 통해 감정을 정화(catharsis)’하는 수단입니다.

 요약:
관객은 비극적인 이야기를 보며 ‘공포’와 ‘연민’의 감정을 체험하고, 이를 통해 억눌려 있던 감정이나 욕망을 해소하게 됨 → 심리적 안도감 또는 감정 정화 효과


 2. 심리학에서의 카타르시스

2-1.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학

  • 초기 프로이트는 카타르시스를 무의식의 억압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함으로써 불안을 줄이는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 **‘말하기 치료(talking cure)’**라는 개념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트라우마나 억눌린 정서를 의식화하고 표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시: 과거의 외상적 경험을 말로 표현하면서 울음을 터뜨리거나 분노를 드러낼 때, 감정이 완화되고 증상이 줄어드는 현상

2-2. 브로이어(Breuer)와의 협업: 『안나 O. 사례』

  • 환자가 억눌린 기억을 회상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증상이 개선되는 현상을 카타르시스 효과로 설명함.

 3. 예술과 문학에서의 카타르시스

  • 비극·소설·영화·연극 등에서 독자나 관객은 등장인물의 극적인 고통과 갈등을 따라가며 감정의 파고를 경험하게 됩니다.
  • 이때 관객은 자신의 삶에서는 억눌렀던 감정(슬픔, 분노, 공포 등)을 대리적 방식으로 경험하고 해소합니다.

예시:

  • 《햄릿》을 읽으며 복수의 욕망을 간접적으로 경험
  • 《파우스트》를 보며 인간 욕망과 구원 사이의 갈등에 몰입
  • 《기생충》, 《조커》 등의 영화에서 사회적 분노, 불안, 공감을 경험하며 감정적 정화

 4. 카타르시스와 정서적 해소

  • 오늘날 심리치료, 예술치료, 심리드라마, 명상 등에서도 카타르시스는 중요한 심리적 도구로 활용됩니다.

 카타르시스적 경험의 유형

눈물 감정 억제가 풀리며 울음을 터뜨리는 순간
격한 신체 반응 분노를 소리 지르거나 몸으로 표현하는 활동
창작행위 글쓰기, 그림, 춤 등으로 감정 표현
공감적 몰입 영화, 음악 감상 중 격한 감정의 동요

 5. 카타르시스의 비판과 한계

  • 지속적 효과 논란: 일시적 해소는 가능하나, 반복적인 분출은 오히려 감정 조절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음 (현대 인지행동치료 관점)
  • 폭력적 표현의 정당화: "화를 내야 속이 시원하다"는 잘못된 믿음으로 공격성을 강화할 수도 있음

 정리

고전적 개념 비극을 통한 감정의 정화 (공포와 연민의 해소)
심리학적 개념 억압된 감정의 표현을 통한 불안 감소
예술적 맥락 작품을 통한 대리 경험과 감정의 정화
현대 활용 예술치료, 심리극, 감정표현 활동 등에서 활용
주의사항 반복적 분출이 도움이 안 될 수 있으며, 감정 조절 전략과 병행 필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