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K-YSR (Korean Youth Self Report) 개요
K-YSR은 만 11세~18세 사이의 청소년 본인이 스스로 자신의 정서 및 행동 특성을 보고하는 자기보고식 평가도구입니다.
이는 Achenbach System of Empirically Based Assessment(ASEBA)의 하나로, 원래는 미국의 Thomas Achenbach 박사가 개발한 YSR을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한 도구입니다.
K-YSR은 CBCL(부모 보고형)과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다면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아동·청소년의 정서적 문제나 행동상의 어려움을 스스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평가 목적
- 정서적 문제(예: 불안, 우울, 위축 등) 및
- 행동상의 문제(예: 공격성, 규칙 위반 등)를
청소년 스스로가 인식하고 보고하게 하여 심리적 고통, 사회적 부적응, 정신병리 징후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평가 대상 및 방법
- 대상 연령: 만 11세 ~ 18세 청소년
- 문항 수: 약 119문항
- 응답 방식:
- 0점: 전혀 아니다
- 1점: 가끔 그렇다
- 2점: 자주 그렇다
평가 영역 (문제행동 척도)
K-YSR은 2가지 주요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증후군 척도(Syndrome Scales)
9가지 하위척도로 세분화됩니다.
위축/우울 (Withdrawn/Depressed) |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우울감 있는 경우 |
신체증상 (Somatic Complaints) | 두통, 복통 등 심리적 스트레스의 신체 표현 |
불안/우울 (Anxious/Depressed) | 걱정, 우울감, 불안 |
사회적 문제 (Social Problems) | 또래와의 갈등, 적응 문제 |
사고 문제 (Thought Problems) | 사고의 혼란, 현실감 결여 |
주의집중 문제 (Attention Problems) | 산만함, 주의력 결핍 |
규칙위반 행동 (Rule-Breaking Behavior) | 거짓말, 무단결석 등 사회 규범 위반 |
공격적 행동 (Aggressive Behavior) | 분노 폭발, 공격성 |
기타 문제 (Other Problems) | 자기파괴적 행동 등 |
2. DSM 정렬 척도 (DSM-Oriented Scales)
DSM 진단 기준에 맞춰 설계된 6가지 임상척도입니다.
- 우울장애
- 불안장애
- ADHD
- 품행장애
- 반항장애
- 신체형 장애
주요 지표
- 내재화 문제 (Internalizing Problems)
- 위축/우울 + 신체증상 + 불안/우울
- 외현화 문제 (Externalizing Problems)
- 규칙위반 행동 + 공격적 행동
- 총 문제 점수 (Total Problems)
- 전체 문항의 총합
이외에도 사회적 역량, 학교생활 적응, 활동 참여 등 기능 영역도 함께 평가될 수 있습니다.
해석과 활용
- 심리적 고통이나 정신병리 위험성을 조기에 탐지
- 개입의 우선순위 결정: 내재화 vs 외현화 중심 문제 확인
- 임상 면담 및 치료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 학교상담 및 정신건강 프로그램 평가 도구로 활용 가능
K-YSR의 장점
- 청소년 스스로의 시각에서 문제를 진단함으로써
CBCL, TRF(교사 보고형) 등과 함께 입체적 진단 가능 - 개인 내 변화 추적에 유용: 치료 전후 비교 가능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CF 검사 : 신경심리학적 검사 (0) | 2025.04.21 |
---|---|
심리생리검사(psychophysiological testing) (0) | 2025.04.21 |
CBCL : 아동·청소년의 정서 및 행동 문제 심리검사 (1) | 2025.04.20 |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 (0) | 2025.04.20 |
애니어그램(Enneagram) : 성격유형 이론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