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후버링 문구는
① 감정 자극(사랑, 동정, 죄책감)
② 공포 유발(위협)
③ 추억 소환(회상)
④ 변화 가장(가짜 반성)
⑤ 우회적 접근(간접 접촉)
이렇게 크게 다섯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나르시시스트 후버링 문구 50선
1. 감정 자극형 (사랑, 동정심, 죄책감 자극)
- "정말 네가 아니면 안 돼."
- "너만큼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은 없었어."
- "우리가 함께한 모든 순간이 그리워."
- "나는 아직도 매일 너를 생각해."
- "다른 사람은 다 필요 없어, 오직 너야."
- "내 인생이 너 없이 텅 빈 것 같아."
- "네가 없는 하루는 너무 고통스러워."
- "모든 게 내 잘못이야. 진심으로 미안해."
- "나는 너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
- "네가 날 버리고 떠날 줄은 몰랐어."
2. 공포 유발형 (위협, 협박)
- "네가 이렇게 나를 버린 걸 후회하게 될 거야."
- "너 없이는 살 수 없으니, 죽어버릴지도 몰라."
- "내가 무슨 짓을 할지 모른다."
- "너도 언젠가 똑같은 고통을 당할 거야."
- "내가 가진 걸 모두 잃게 만들 거야."
- "널 망가뜨릴 방법은 얼마든지 있어."
- "나를 이렇게 만든 건 너야."
- "네 주변 사람들도 가만두지 않을 거야."
- "다른 사람들에게 네 진짜 모습을 말해버릴 거야."
- "너를 보지 않고는 끝낼 수 없어."
3. 추억 소환형 (과거 회상, 감성 자극)
- "우리 처음 만났던 그날 기억나?"
- "네가 웃던 모습이 아직도 선명해."
- "우리 함께 듣던 노래를 들었어."
- "예전에 함께 가던 그 카페에 갔었어."
- "네가 좋아하던 꽃을 보니까 네 생각이 나더라."
- "너랑 같이 보낸 겨울이 내 인생 최고의 시간이었어."
- "너와 나 사이에는 특별한 뭔가가 있었잖아."
- "우리만 아는 추억이 너무 많아."
- "그때 우리가 얼마나 행복했는지 기억해?"
- "너를 대신할 사람은 없어."
4. 변화 가장형 (가짜 반성, 개선 약속)
- "나 정말 변했어. 이번엔 믿어줘."
- "치료도 시작했어. 너한테 자랑하고 싶었어."
- "너만 돌아와 준다면 모든 걸 바꿀게."
- "이제야 진짜 나를 알게 됐어."
- "너 없이 살아보니 내가 얼마나 이기적이었는지 알았어."
- "제발 한 번만 기회를 줘."
- "이번엔 모든 걸 네 방식대로 할게."
- "우리가 서로 배워나가야 할 시간이 필요했을 뿐이야."
- "네가 내 인생의 전환점이야."
- "이번엔 절대 너를 실망시키지 않을게."
5. 우회적 접근형 (간접 소통, 주변 사람 활용)
- (공통 친구를 통해) "걔 요즘 잘 지내?"
- (SNS에 올리며) "누군가가 그리운 밤이야."
- (가족을 통해) "혹시 ○○(당신) 근황 들었어?"
- (지인에게) "나 아직도 그 사람 생각나."
- (선물 보내기) "그때 네가 좋아하던 거야."
- (SNS 디렉트 메시지) "우연히 이걸 봤는데 네 생각이 났어."
- (사진 공유) "우리 예전 사진 찾았어. 보낼게."
- (이메일) "긴 얘기 아니야. 그냥 네가 잘 지내는지만 알고 싶어."
- (편지) "이건 마지막이야. 읽어주기만 해 줘."
- (지인 초대) "같이 모이자고 했는데 ○○도 오면 좋겠대."
전문가 노트
- 나르시시스트의 후버링 문구는 "진심"처럼 보이지만, 진심이 아닙니다.
- 핵심은 **"당신의 감정 반응을 끌어내는 것"**입니다. (사랑, 동정, 죄책감, 불안 모두 포함)
- 이 문구에 감정적으로 휘말리기 시작하는 순간,
다시 관계의 고리에 끌려들 위험이 커집니다.
→ 원칙:
"모든 감성적 메시지는 덫이다. 무반응으로 일관할 것."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우울에피소드(Depressive Episode in Children) (1) | 2025.05.06 |
---|---|
후버링 문구별 대화 차단 스크립트 (0) | 2025.04.30 |
나르시시스트(Narcissist)와의 연애 관계 분석 (0) | 2025.04.30 |
심리상담의 주요 목표 (0) | 2025.04.26 |
성격심리학(Personality Psychology)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