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치료기법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by bluegreen57 2025. 5. 16.
728x90
반응형
SMALL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은 불안 장애나 공포증(phobia)을 치료하기 위한 대표적인 행동치료 기법 중 하나로,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특정한 자극(예: 거미, 고소공포 등)에 대해 비합리적인 공포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사용됩니다.


 1. 개념 정리

체계적 둔감법은 심리학자 **조셉 볼피(Joseph Wolpe)**가 1958년에 개발한 기법으로,
공포를 유발하는 자극에 대해 점진적으로 노출하면서 동시에 이완 반응을 학습시켜,
기존의 공포 반응을 이완 반응으로 대체하도록 유도합니다.

- 즉, "공포 자극 → 불안"의 고정 연결을 "공포 자극 → 이완"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역조건형성(counter-conditioning)**이라고도 불립니다.


 2. 작동 원리: 고전적 조건형성과의 연관

체계적 둔감법은 다음 원리를 바탕으로 합니다:

  • 공포 반응은 고전적 조건형성으로 인해 학습된 것이라고 본다.
  • 따라서 새로운 조건 반응인 이완 반응을 같은 자극에 결합시키면, 기존의 공포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다.
  • 이 때 사용되는 핵심 원리는 **호환 불가능한 반응의 대체(substitution of incompatible response)**입니다.
    → 즉, 이완 상태에서는 동시에 불안을 느끼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합니다.

 3. 단계별 치료 과정

 1단계: 근육 이완 훈련 (Relaxation Training)

  • 환자는 먼저 심리적 긴장을 해소하는 이완 훈련을 배웁니다.
  • 대표적인 기법: 점진적 근육 이완법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PMR), 복식호흡 등.
  • 이 이완 기법은 불안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됩니다.

 2단계: 불안 위계 목록 작성 (Anxiety Hierarchy)

  • 내담자와 함께 공포 자극의 목록을 만듭니다.
  • 이 자극들을 가장 약한 자극 → 가장 강한 자극 순서대로 배열합니다. 예: 고소공포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 1단계: 고층 건물 사진 보기
    • 2단계: 고층 엘리베이터 타기
    • 3단계: 전망대에 올라가기

- 각 자극은 SUDS(Subjective Units of Distress Scale, 주관적 불안 척도)를 통해 수치화할 수 있습니다.


 3단계: 체계적 둔감화 실시 (Desensitization Proper)

  • 이완 상태에서 위계 상 가장 약한 자극부터 상상 혹은 실제 노출합니다.
  • 불안 반응이 사라질 때까지 자극을 반복 노출하며 이완을 유지합니다.
  • 한 단계에서 불안이 줄어들면, 다음 강도의 자극으로 넘어갑니다.

이 과정은 **상상적 노출(imaginal exposure)**이나 현실적 노출(in vivo exposure), 혹은 **가상현실 노출(VR exposure)**로도 진행될 수 있습니다.


 4. 체계적 둔감법의 실제 적용 예

거미 공포증 거미 사진 보기 → 모형 만지기 → 진짜 거미 보기 → 진짜 거미 만지기 이완 훈련 병행하며 각 단계를 차례로 노출
발표 공포증 혼자 연습 → 친구 앞 발표 → 낯선 사람 앞 발표 → 대중 앞 발표 상상+실제 연습 병행
고소공포증 고층건물 사진 → 엘리베이터 타기 → 발코니 서기 각 단계에서 이완 상태를 유지하며 반복 노출

 5. 장점 및 단점

 장점

  • 부작용이 적고 비교적 짧은 기간 내 효과 확인 가능
  • 행동의 변화뿐 아니라 자기 통제력을 키우는 효과도 있음
  • 여러 종류의 공포증, PTSD, 시험불안, 사회불안 등에 효과적

 단점

  • 일정 수준 이상의 **심상 능력(상상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
  • 심한 불안 장애의 경우 단독 적용보다는 약물 치료나 인지치료와 병행이 필요함
  • 위계 단계 설정이 어렵거나 내담자가 협조적이지 않을 경우 효과 저하

 6. 관련 치료법과의 비교

체계적 둔감법 이완 + 점진적 노출 비교적 부드럽고 통제 가능
홍수법 (Flooding) 가장 강한 자극에 즉시 노출 공포가 사라질 때까지 지속 노출, 효과는 빠르나 고통 큼
노출 및 반응 방지(ERP) 자극에 노출시키되 회피 반응 억제 강박장애 치료에 주로 사용
인지행동치료(CBT) 인지 재구성과 행동 수정 병행 체계적 둔감법을 포함한 넓은 틀

 요약

체계적 둔감법은 불안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에 대해 이완 반응을 학습시켜 공포를 해소하는 기법입니다.
심리치료 실무에서 매우 널리 쓰이며,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선호하는 내담자에게 적합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