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혐오치료기법(Aversive Therapy)이란?
혐오치료기법은 행동주의 치료법의 일종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혐오 자극과 연합시켜 그 행동을 감소시키려는 기법입니다. 즉, 특정 행동이 반복될 때 불쾌하거나 고통스러운 자극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행동에 대한 혐오 반응을 학습하게 하는 원리입니다.
이론적 배경
1.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에 기반
- 파블로프의 개 이론처럼, **무조건 자극(혐오 자극)**과 **조건 자극(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결합시켜 조건 반응(혐오감)을 형성합니다.
2. 학습된 회피(learned avoidance)
- 특정 행동과 혐오 감정을 연합시키면, 이후 그 행동 자체를 회피하게 됩니다.
주요 사용 사례
흡연 | 흡연 시 입안에 구토 유발제(예: emetine)를 넣어 메스꺼움 유도 |
알코올 중독 | 알코올 섭취와 함께 아포모르핀(구토 유도제)을 투여해 메스꺼움 학습 |
성도착 행동 | 도착적 상상과 동시에 전기자극이나 혐오적 이미지 노출 |
욕설이나 틱 | 특정 행동 후 불쾌한 자극(예: 고무줄 튕기기, 쓴맛 스프레이 등) 제공 |
구체적 기법의 종류
1. 약물 기반 혐오 요법 (Chemical Aversion)
- 특정 행동 직후 구토 유발 약물을 투여해 생리적 혐오 반응을 유도.
- 예: 알코올 중독 환자가 술을 마시면 메스꺼움을 유도하는 약 복용.
2. 전기 충격 기반 (Electrical Aversion)
- 바람직하지 않은 자극(예: 특정 이미지)에 노출되었을 때 약한 전기 충격 제공.
3. 상상 혐오 치료(Covert Sensitization)
- 실제 자극 없이 상상만으로 혐오감을 느끼도록 유도.
- 예: 도착적 성행동을 상상하게 하고 그 뒤에 강한 혐오 이미지를 상상하게 함.
치료 단계 예시 (알코올 중독 치료 시)
- 사전 평가: 음주 빈도, 동기, 트리거 확인
- 조건 형성: 음주와 함께 혐오 자극(구토 유도 등) 반복 노출
- 반응 형성: 음주에 대한 불쾌 감정 강화
- 노출 감소: 음주 욕구가 줄어들 때까지 반복 훈련
- 대체 행동 강화: 금주에 대한 긍정적 보상 도입
인지행동치료와의 차이점
접근법 | 조건형성 기반: 혐오치료 | 인지 재구성과 행동 수정 병행 : 인지행동치료 |
핵심 원리 | 혐오 반응 조건화 | 사고-감정-행동 고리 탐색 |
감정 개입 | 간접적 | 직접적, 논리적 |
유지 전략 | 행동 회피 | 자기 통찰 및 재구성 |
장점과 한계
장점
- 빠른 효과 가능 (초기 행동 억제에는 효과적)
- 단순하고 적용이 명확함
- 심각한 중독 치료에 보조적 역할
한계
- 장기적 유지가 어렵고 재발률 높음
- 윤리적 논란 (특히 전기충격, 약물 사용 시)
- 자발적 동기가 약할 경우 효과 미미
- 인지적 재구조화를 동반하지 않으면 근본 원인 해결 불가
현대적 발전: 통합적 접근
최근에는 혐오치료 단독보다는 다음과 같은 복합 접근이 권장됩니다:
- CBT + 혐오치료: 행동 변화 + 사고 교정
- 동기강화면담 + 혐오치료: 변화 의지 강화
- 정신역동적 요법 병행: 근본 원인 탐색
정리
정의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혐오 자극을 연합시켜 행동 억제 |
이론 | 고전적 조건형성 기반 |
대상 | 중독, 성도착, 틱, 강박 행동 등 |
기법 | 약물, 전기충격, 상상 기법 등 |
장점 | 빠른 반응, 직관적 적용 |
단점 | 재발 우려, 윤리성 논란, 근본 원인 해결 한계 |
현대 흐름 | CBT, 동기 강화, 정신역동 치료와 통합 적용 |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0) | 2025.05.16 |
---|---|
홍수법(Flooding) : 고강도 노출치료법 (0) | 2025.05.08 |
자기 지시 기법(Self-instructional training) (1) | 2025.04.28 |
바이오피드백 치료법(Biofeedback Therapy) (1) | 2025.04.28 |
토큰 강화법(Token Economy) (0)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