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인본주의 치료(humanistic therapy)"는 인간의 주관적 경험과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심리치료 접근입니다. 인간을 기계적 존재나 단순한 행동 패턴으로 보지 않고, 고유한 가치와 잠재력을 지닌 존재로 바라보는 것이 핵심입니다.
인본주의 치료의 개요
- 출현 배경: 1950~60년대 미국. 정신분석과 행동주의의 한계에 대한 반동으로 등장.
- 핵심 철학: 인간은 자기 실현(self-actualization)을 향한 내적인 동기를 가진 존재.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자유 의지가 중요하다.
- 목표: 환자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잠재력을 실현하며, 진정한 자기(self)를 회복하는 것.
주요 인물
1. 칼 로저스(Carl Rogers)
- 인본주의 치료의 대표 인물
- **‘내담자 중심 치료’(Client-Centered Therapy)**를 창시
- 주요 개념:
-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 공감적 이해 (Empathic Understanding)
- 진솔함(진정성) (Congruence or Genuineness)
- 치료자는 해답을 제공하는 존재가 아니라, 내담자가 자신의 답을 찾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
2. 아브라함 매슬로우(Abraham Maslow)
- 욕구 위계 이론(Maslow's Hierarchy of Needs)의 창시자
- 인간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한 후, 궁극적으로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을 추구함.
핵심 원칙 특징
자기실현 | 인간은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하려는 본능적 동기를 가짐 |
자유의지와 선택 | 인간은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는 존재 |
주관적 경험의 중요성 | 객관적 진실보다 개인이 어떻게 '경험하는가'가 중요 |
전체적 관점(Holism) | 인간을 분리된 요소가 아닌 통합된 전체로 바라봄 |
현재 중심성 | 과거보다 ‘지금 이 순간’의 감정과 경험에 집중 |
주요 기법
- 비지시적 태도(non-directive approach): 치료자가 방향을 주기보다는, 내담자가 스스로 인식하고 변화하도록 돕는 방식
-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 치료자가 내담자의 말을 깊이 있게 듣고, 반영하며 공감함
- 감정 반영(reflecting feelings): 내담자의 말 속에 담긴 감정을 명확하게 되돌려주는 것
- 조건 없는 수용: 내담자가 무엇을 이야기하든 판단 없이 받아들이는 태도
인본주의 치료의 장점과 한계
자존감 회복과 자기 수용 촉진 | 심각한 정신병리(예: 조현병, 심한 우울)에 한계 |
인간 중심의 존엄성과 가치 강조 | 구조적 기법이 부족하여 명확한 전략이 없을 수 있음 |
자기 통찰 및 성장 촉진 |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 구조적 요인을 간과할 위험 |
다른 치료 접근과의 비교
인간관 | 무의식에 지배됨: 정신분석 | 조건반응에 의해 결정 : 행동주의 | 자유의지와 성장 가능성 :인본주의 |
치료 초점 | 과거와 무의식 | 행동 수정 | 현재 경험과 자기실현 |
치료자 역할 | 해석자 | 강화 제공자 | 공감자, 안내자 |
현대적 적용
- 상담/코칭: 진로 상담, 청소년 상담, 라이프 코칭 등
- 교육: 학생 중심 교육의 이론적 기초
- 조직 개발: 인간 중심 리더십, 자율성과 창의성 강조
- 긍정심리학: 인본주의 이론의 현대적 계승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노출치료(Prolonged Exposure Therapy, PE) (0) | 2025.04.19 |
---|---|
심리치료의 주요 치료기법 (1) | 2025.04.05 |
가족치료(Family Therapy) (0) | 2025.03.23 |
마음 챙김 기반 치료(Mindfulness-Based Therapy) (0) | 2025.03.23 |
예술치료(Art Therapy)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