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분열정동장애 : 정신분열증 + 우울증이나 조증

by bluegreen57 2025. 4. 14.
728x90
반응형
SMALL


**분열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는 **정신분열증(조현병, schizophrenia)**과 **기분장애(주로 우울증이나 조증)**의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적 정신질환입니다. 두 가지 정신질환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1. 정의

분열정동장애는 조현병의 **정신병적 증상(망상, 환각 등)**과, 주요 기분장애(우울 또는 조증)의 증상이 같은 시기에 동반되며,
기분장애가 없는 기간에도 정신병적 증상만 단독으로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진단됩니다.


 2. 핵심 증상

정신병적 증상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행동 이상, 현실 왜곡 등 (조현병적 증상)
기분장애 증상 주요우울삽화(우울, 무기력, 절망감) 또는 조증(과잉행동, 고양된 기분, 충동성 등)
기능저하 사회적, 직업적, 대인관계에서의 기능 저하
증상의 지속 기분장애와 정신병적 증상이 동시에 존재, 그리고 정신병적 증상이 독립적으로 최소 2주간 지속

 3. DSM-5 진단 기준 요약

(1) 조현병의 핵심 증상(망상, 환각 등) + 주요기분삽화(조증/우울삽화)가 동시에 존재
(2) 기분장애 증상이 전체 병경과 중 상당 기간 동반됨
(3) 최소 2주 이상, 기분장애 없이 정신병적 증상만 존재하는 시기가 있음
(4) 기분장애가 없는 정신병은 일시적이지 않아야 함


 4. 유형 분류

양극형(Bipolar type) 조증이나 혼재성 삽화가 포함된 경우
우울형(Depressive type) 주요 우울삽화만 동반된 경우

 5. 원인과 위험 요인

  • 유전적 요인: 조현병 또는 기분장애 가족력
  • 신경생물학적 요인: 도파민,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 이상
  • 스트레스: 외상 경험, 만성 스트레스
  • 신체적 요인: 출생 전후의 이상, 뇌 구조 이상

 6. 치료

치료는 조현병과 기분장애 치료를 통합적으로 적용합니다.

약물치료 항정신병제(리스페리돈, 올란자핀 등), 기분안정제(리튬, 발프로산), 항우울제 등
정신사회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사회기술 훈련, 직업재활
입원치료 증상이 심할 경우 필요함
재발 예방 정기적인 약물 복용과 스트레스 관리 중요

 7. 조현병, 양극성장애와의 차이점

조현병 있음 : 정신병적 증상 약하거나 없음 : 기분장애 증상 정신병적 증상이 주
양극성장애 가능함 (기분 삽화 중) 있음 기분장애가 주, 정신병적 증상은 기분삽화 중만 발생
분열정동장애 있음 있음 기분장애와 정신병적 증상이 동시에 존재, 그리고 정신병적 증상 단독 시기도 존재

 8. 경과 및 예후

  • 조기 치료 시 기능 회복 가능성 있음
  • 그러나 재발률이 높고, 사회적 기능 저하가 장기적으로 남을 수 있음
  • 약물 순응도, 지지체계, 개인의 통찰력이 예후에 큰 영향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