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치료기법

빈 의자 기법 vs 두 의자 기법 비교 분석 : 상담기법

by bluegreen57 2025. 4. 23.
728x90
반응형
SMALL

빈 의자 기법두 의자 기법은 둘 다 **게슈탈트 치료(Gestalt Therapy)**에서 유래된 대표적인 상담기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1. 개념 정의

정의 빈 의자에 타인을 상정하고 대화를 나누는 기법 :빈 의자 기법 두 의자에 내담자의 내적 갈등 양측을 위치시켜 대화하게 하는 기법 : 두 의자 기법
상징성 다른 사람(예: 부모, 친구, 상사 등) 혹은 과거의 자기 내면의 서로 다른 두 자아(예: 비판자 vs 피비판자)

 2. 치료 목적

주요 목적 억눌린 감정 해소, 미해결 과제 완수 : 빈 의자 기법 내면의 갈등 인식 및 통합 : 두 의자 기법
구체 목표 과거 인물에 대한 감정 정리, 표현되지 못한 말 하기 자기 내면의 양가감정이나 역할 갈등 해결

 


 3. 진행 방식

설정 빈 의자에 특정 인물을 상정 (예: 어머니) : 빈 의자 기법 두 개의 의자를 놓고 내담자가 양쪽을 오가며 역할 바꾸기 : 두 의자 기법
대화 방식 내담자가 빈 의자에 말 걸고, 가상의 인물과 대화 내담자가 두 입장을 번갈아 표현하며 자기 자신과 대화
상담자 역할 질문과 안내를 통해 감정 탐색 유도 감정 교류를 촉진하며 갈등 양측을 조율

 4. 적용 상황

적합한 사례 과거 미해결 관계 (예: 이별, 부모와의 갈등) : 빈 의자 기법 내면의 이중 감정 (예: 하고 싶지만 두려움, 자책과 자존감) : 두 의자 기법
활용 대상 타인과의 정서적 거리 문제 자기비판, 결단장애, 내면 분열 갈등

 5. 심리적 효과

감정의 외화 억압된 감정 표현을 통해 정화(catharsis) 효과 :빈 의자 기법 갈등하는 자기 파트를 외화하여 인식 명확화 :두 의자 기법
자기이해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욕구 자각 내면의 모순된 감정 및 동기 구조 이해
자아통합 감정적 해방 및 대인관계의 재구성 가능 갈등 양극을 수용하여 자기통합 추구 가능

 6. 차이점 요약

대상 타인 또는 과거의 자기 : 빈 의자 기법 자기 안의 두 감정, 태도, 역할 : 두 의자 기법
목적 감정 해소, 관계 정리 내적 갈등 통합과 자기 수용
방식 일방향적 표현 → 상상적 반응 양방향 대화 (역할 교체 필수)
예시 “엄마, 왜 항상 날 무시했어요?” “나는 자꾸 널 탓하게 돼” vs “난 나름대로 열심히 했어!”

 참고 예시

  • 빈 의자 기법
  • “아버지, 당신이 떠난 후 전 너무 힘들었어요. 왜 그렇게 무심하셨나요?”
  • 두 의자 기법
  • (의자 A) “너는 항상 부족했어. 제대로 한 게 뭐가 있어?”
    (의자 B) “난 정말 최선을 다했어. 나도 사랑받고 싶었어.”

 결론

  • 빈 의자 기법외부 관계와 감정을 다루는 데 효과적이고,
  • 두 의자 기법내면의 자기 갈등을 직면하고 통합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두 기법 모두 자기 인식 증진, 감정 표현, 미해결 과제 해결, 자아 성장에 기여하며, 게슈탈트 상담의 핵심 기법으로 심리치료, 집단상담, 코칭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