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기억력 검사는 인간의 기억 기능을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심리검사로, 뇌 기능의 이상 여부, 치매나 인지장애의 조기 발견, 학습 능력 평가, 정신과적 진단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1. 기억의 구성 요소
기억력 검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억의 하위 영역을 평가합니다:
즉시 기억 (Immediate Memory) | 자극을 제시한 직후의 기억 유지력 |
지연 기억 (Delayed Memory) | 일정 시간(10~30분) 후 기억 재생 여부 |
작업 기억 (Working Memory) | 단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능력 (예: 숫자 거꾸로 말하기) |
시각적 기억 | 도형이나 이미지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 |
언어적 기억 | 단어, 문장, 이야기 등을 기억하는 능력 |
기억 인출 vs 재인 | 기억을 '스스로 떠올릴 수 있는가(인출)' vs '보기 중 고를 수 있는가(재인)' |
2. 대표적인 기억력 검사 종류
① Wechsler 기억력 척도 (WMS: Wechsler Memory Scale)
- 가장 널리 쓰이는 표준화된 기억력 검사
- 시각적 기억, 언어적 기억, 작업 기억, 지연 기억 등을 포괄
- 다양한 하위 검사 포함 (숫자 span, 이야기 기억, 시각 재생 등)
②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OCF)
- 복잡한 도형을 모사한 후, 일정 시간 뒤 기억하여 다시 그리게 함
- 시공간적 기억 및 조직화 전략 파악에 유용
③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CVLT)
- 단어 리스트 암기 및 회상 반복 → 언어적 기억과 학습 전략 평가
④ K-WAIS, K-WISC의 작업기억 지표
- 숫자, 산수, 순서 배열 등 작업기억 중심 하위척도 포함
⑤ K-MMSE (간이 정신상태 검사)
- 고령층 대상 선별검사. 기억, 시간 장소 지남력, 계산 능력 등 포함
3. 임상적 활용 예시
신경과/정신과 | 치매, 경도인지장애(MCI), 외상성 뇌손상(TBI) 평가 |
교육/학습 | 학습장애, ADHD, 작업기억 저하 진단 |
심리 상담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증 관련 기억 저하 탐지 |
재활 평가 | 뇌졸중 후 기억 회복 경과 측정 |
4. 검사 시 유의사항
- 심리적 상태(우울, 불안 등)가 기억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 검사 결과는 **상대적 비교(연령대별 기준)**로 해석됨
- 반드시 임상심리전문가나 신경심리학자의 해석이 필요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ONG 진로 탐색 검사(Strong Interest Inventory, SII) (0) | 2025.05.03 |
---|---|
손다이크의 지능 이론 (0) | 2025.05.02 |
길포드(Guilford)의 지능 이론과 지능 검사 (0) | 2025.04.28 |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 (0) | 2025.04.27 |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