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벤톤 시각기억 검사(BVRT)

by bluegreen57 2025. 5. 12.
728x90
반응형
SMALL

 개요: 벤톤 시각기억 검사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BVRT)

벤톤 시각기억검사시각적 기억, 시공간 구성 능력, 주의 집중력, 시지각 처리, 그리고 신경학적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신경심리검사 중 하나입니다. 주로 노년층의 인지기능 저하, 뇌 손상, 치매, 정신신경학적 질환의 평가에 활용됩니다.


 개발자 및 역사

  • 개발자: Arthur L. Benton (미국 신경심리학자)
  • 최초 개발: 1946년, 이후 여러 번 개정되어 현재까지도 임상 및 연구에서 널리 사용됨
  • 목적: 뇌 손상 환자의 시각기억 및 시지각 능력 평가

 검사 목적 및 평가 영역

시각 기억력 시각적으로 제시된 자극을 기억하고 재현하는 능력
주의 집중 짧은 시간 동안의 집중력 수준
시공간 조직능력 도형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능력
시지각 능력 도형의 구성과 형태를 인식하고 재생하는 능력
인지적 효율성 시각적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능력

 검사 도구 및 구성

  • 총 10장의 도형 카드 (각각의 도형은 단순하거나 복잡한 선의 형태로 구성됨)
  • 3가지 실시 형태가 있음:
A형 (즉각 재생) 피검자가 도형을 10초간 본 후, 즉시 기억을 바탕으로 그리기
B형 (지연 재생) 도형을 본 후 지연 시간을 두고 기억하여 그리기
C형 (인식 검사) 원 도형이 포함된 복수의 도형 중에서 정답을 고르는 선택형

 검사 절차

  1. 검사자 지시에 따라 도형 카드 1장을 피검자에게 10초간 제시
  2. 카드를 치운 후, 피검자는 기억을 바탕으로 종이에 도형을 그리게 됨
  3. 10회 반복, 각 도형에 대한 반응이 기록됨
  4. **오답의 종류(왜곡, 회전, 생략, 추가 등)**도 함께 채점됨

 채점 방법

  • 정답 채점 방식: 원 도형과의 일치 정도를 기준으로 점수 부여
  • 오류 분석: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오류를 분류함
왜곡(distortion) 도형의 모양이 변형됨
회전(rotation) 전체 도형이 회전됨
추가(addition) 없는 선이나 모양이 첨가됨
생략(omission) 일부 선이나 구성 요소가 빠짐
위치 오류(misplacement) 도형의 위치나 비율이 잘못됨

 임상적 해석

1. 정상군

  • 나이와 학력 수준에 따른 평균 점수 범위가 정해져 있음
  • 연령이 높을수록 기억 능력의 저하가 일부 관찰되기도 함

2. 뇌 손상 환자

  • 우반구 손상: 시공간적 처리 오류, 회전 오류 증가
  • 좌반구 손상: 언어적 전략 사용 부족, 시각기억 자체의 손실
  • 치매 환자: 도형 왜곡, 생략, 위치 오류가 빈번하며 전반적인 점수 저하

 사용 예시

  • 치매 조기진단: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등에서 초기 시각기억 장애 탐지
  • 외상성 뇌손상: 시지각적 기능의 손상 여부 확인
  • 발달장애 평가: 아동에서의 시공간 조직 및 시각기억 문제 확인
  • 신경정신과: 조현병, 우울증, 양극성 장애 등에서의 인지기능 스크리닝

 장점과 한계

 

- 간편하고 짧은 시간에 실시 가능 (약 15분) - 정량적 점수 + 정성적 오류 분석 모두 가능 - 다양한 임상 집단에서 검증됨 : 장점 - 교육 수준, 문화적 배경에 따라 점수 영향 가능 - 단일 도형 검사로는 복합적인 인지 평가에 제한 - 검사자의 해석 능력에 따라 편차 발생 가능 : 한계

 요약 

  • 검사명: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BVRT)
  • 평가영역: 시각 기억, 시공간 구성, 시지각 기능
  • 검사대상: 아동~노인, 뇌손상/치매/정신과적 의심자
  • 검사시간: 약 15분
  • 적용장소: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실, 재활병동 등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