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는 신경심리학에서 전두엽 기능, 특히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과 문제 해결 능력, 개념 형성 능력, 작동기억, 추론 능력, 그리고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검사입니다.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WCST) 개요
1. 검사 목적
- 전두엽 손상 여부 확인
-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의 평가
- 인지적 유연성(flexibility), 개념 전환 능력(set-shifting), 추론, 자기통제력을 측정
2. 평가 대상
- 외상성 뇌손상 환자
- 뇌졸중 및 뇌종양 환자
- 정신분열증, 조현병, 우울증 환자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노화나 치매(예: 알츠하이머병) 평가
- 청소년~성인 대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됨
검사 구성 및 절차
1. 카드 구성
- 총 **128장의 자극 카드(stimulus cards)**와 4장의 기준 카드(key cards)
- 각 카드는 다음 3가지 속성을 가짐:
- 색깔 (빨강, 파랑, 초록, 노랑)
- 모양 (별, 십자가, 세모, 원)
- 개수 (1개~4개)
2. 검사 절차
- 피검자에게 규칙을 명시적으로 알려주지 않음
- 피검자는 제시된 카드를 4장의 기준 카드 중 하나에 "어떤 기준(색, 모양, 개수)"에 따라 분류해야 함
- 검사자는 매 시행마다 **“맞았습니다” 혹은 “틀렸습니다”**라는 피드백만 제공
- 일정 횟수(예: 10개 연속 정답) 후 규칙이 예고 없이 변경됨 (예: 색 → 모양)
3. 피검자의 과제
- 바뀌는 규칙을 인식하고
- 새로운 규칙에 유연하게 적응해야 함
주요 평가 지표
총 완료된 범주 수: 지표 | 정확히 규칙을 적용한 범주의 수 : 의미 | 전두엽 기능의 대표 지표 : 임상적 해석 |
범주 형성 실패 |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유지하지 못한 경우 | 인지적 유연성 저하 |
보속 오류(Perserverative Errors) | 규칙이 바뀌었는데도 이전 규칙을 고수하는 오류 | 전두엽 기능 손상의 핵심 지표 |
비보속 오류(Non-perservative Errors) | 명확한 패턴 없이 반복된 오류 | 전반적인 인지 결함 가능성 |
반응 시간 | 판단 속도 | 정신운동 속도 지표 |
WCST가 평가하는 인지 기능
개념 형성 | 문제 해결을 위한 추론 능력 |
유연한 사고 | 규칙이 바뀌었을 때 적응하는 능력 |
작동 기억 | 최근 피드백을 기억하고 활용하는 능력 |
자기 모니터링 | 스스로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능력 |
억제 조절 | 이전 규칙을 고수하려는 경향 억제 |
임상적 활용 예시
전두엽 손상 | 보속 오류 증가, 범주 전환 어려움 |
조현병 | 개념 전환 어려움, 비보속 오류 증가 |
ADHD | 충동적 반응, 규칙 유지 어려움 |
우울증 | 처리 속도 저하, 범주 형성은 가능하나 느림 |
노화/치매 | 규칙 학습 및 전환 모두 어려움 |
점수 해석 예시 (정량화 가능)
- 보속 오류율 30% 이상: 전두엽 기능 저하 강하게 의심
- 범주 4개 이하: 개념 형성 및 전환 능력 저하 가능성
장점과 단점
장점
- 전두엽 기능과 인지 유연성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
- 반복 시행 시 피검자의 학습 효과나 유연성 관찰 가능
- 신경심리검사 배터리에서 핵심 역할 수행
단점
- 시행 시간이 비교적 길고, 평가자의 해석이 필요
- 청소년 이하에서는 수행의 난이도가 높을 수 있음
- 정답 규칙을 말해주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음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톤 시각기억 검사(BVRT) (0) | 2025.05.12 |
---|---|
하노이 탑 검사(Tower of Hanoi Test) (0) | 2025.05.12 |
벤더-게슈탈트 도형 검사(BGT) (0) | 2025.05.11 |
MMPI-2 : 다면적 성격 검사 (0) | 2025.05.10 |
스텐버그(Robert J. Sternberg)의 지능 이론 : 삼원지능이론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