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스텐버그(Robert J. Sternberg)의 지능 이론은 전통적인 지능 개념이 너무 협소하다는 비판에서 출발하여 실제 삶에서의 성공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한 이론입니다. 그의 대표적인 지능 이론은 **삼원지능이론(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입니다.
스텐버그의 삼원지능이론 (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스텐버그는 지능을 세 가지 하위 요소로 구분하였습니다:
1. 분석적 지능(Analytical Intelligence)
- 전통적인 지능검사(IQ)에서 측정되는 논리적 추론, 문제 해결, 분석 능력에 해당합니다.
- 학교 시험, 논리적 사고, 정보처리 능력 등과 관련됩니다.
- 예: 수학 문제를 푸는 능력, 논리적인 글쓰기, 퍼즐 해결 등.
2. 창의적 지능(Creative Intelligence)
- 새로운 상황이나 문제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기존 지식을 새롭게 조합하는 능력입니다.
- **통찰력(insight), 상상력(imagination), 독창성(originality)**이 포함됩니다.
- 예: 독특한 아이디어 제안, 예술 창작, 새로운 발명 등을 통해 드러남.
3. 실제적 지능(Practical Intelligence)
- ‘현실 지능(street smart)’이라 불리며,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적용되는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판단, 적응 능력 등이 포함됩니다.
- 예: 대인관계 기술, 직장 내 문제 해결, 협상 능력, 위기 대처능력 등.
스텐버그 지능이론의 핵심 특징
다차원적 접근 | 전통 IQ의 제한을 넘어서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지능을 포괄함 |
성공 지능 강조 | 지능은 시험점수가 아니라 삶의 성공적 수행 능력과 관련됨 |
지능은 훈련 가능 | 교육과 훈련을 통해 세 가지 지능 모두 개선될 수 있음 |
문화적 다양성 인정 | 문화나 환경에 따라 중요하게 여겨지는 지능의 유형이 다를 수 있음 |
교육적 시사점
스텐버그는 학교 교육이 지나치게 분석적 지능만을 강조한다고 비판하며,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안합니다:
- 창의력과 실천력도 교육의 목표로 포함되어야 함
- 다양한 평가 방식(프로젝트, 프레젠테이션 등)을 통해 다면적 지능을 반영
- 학생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교육 필요
예시로 이해하기
시험 문제 해결 | 논리적 추론과 계산: 분석적 지능 |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 창의적 지능 | 시험 전략 세우기: 실제적 지능 |
창업 | 사업 모델 분석 |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 | 실제 고객과 협상, 마케팅 실행 |
인간관계 | 상황 분석과 감정 이해 | 독창적인 사과 방법 고안 | 실제로 갈등을 풀고 화해 시도 |
스텐버그의 이론이 중요한 이유
스텐버그의 삼원지능이론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며, 단일한 IQ 점수로는 측정할 수 없는 인간 능력의 폭넓은 영역을 강조합니다. 특히, 창의성과 실용적 문제해결 능력은 현대 사회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더-게슈탈트 도형 검사(BGT) (0) | 2025.05.11 |
---|---|
MMPI-2 : 다면적 성격 검사 (0) | 2025.05.10 |
TBI 검사 : 외상성 뇌손상 평가 검사 (0) | 2025.05.09 |
CVLT : 언어 기억 검사 (0) | 2025.05.09 |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