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TBI 검사란?
**TBI(외상성 뇌손상, Traumatic Brain Injury)**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뇌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손상을 의미합니다. TBI 검사는 이러한 뇌 손상의 유무, 범위, 정도, 그리고 그로 인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는 다각적인 검사 절차입니다.
검사 목적
- 손상의 위치 및 정도 파악
- 인지 기능 저하 여부 확인
- 심리·정서적 변화 탐색
- 회복 경과 및 재활 방향 설정
검사 구성
TBI 평가는 한 가지 검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신경심리검사, 영상검사, 신경학적 검사, 정신과적 면담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1. 신경심리검사
뇌 손상으로 인한 인지적 손상을 평가합니다.
기억력 | CVLT, WMS (Wechsler Memory Scale) |
주의력 | CPT (Continuous Performance Test), TMT (Trail Making Test) |
실행기능 | WC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
시공간 능력 | ROCF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
언어기능 | Boston Naming Test, Token Test 등 |
2. 영상 검사 (신경영상학)
손상의 구조적 위치를 시각적으로 파악합니다.
- CT(컴퓨터 단층촬영): 급성 출혈, 골절 탐지에 유용
- MRI(자기공명영상): 연부 조직, 축삭 손상 확인에 유리
- fMRI: 기능적 뇌 활동 확인
- DTI(확산텐서영상): 미세한 백질 손상 확인
3. 신경학적 검사
운동기능, 감각, 반사 등 뇌신경의 전반적 기능 평가
4. 정신과 면담 및 행동 관찰
우울, 불안, 분노조절, 충동성, 무기력감 등의 정서 및 성격 변화 평가
적용 예시
- 교통사고 후 기억력 저하, 집중력 문제 호소
- 군 복무 중 외상 후 격렬한 감정기복 발생
- 낙상으로 인한 일시적 의식소실 후 불안 증가
검사 시 유의사항
- 검사 전 피로, 약물 복용 여부 확인
- 영상검사 결과만으로 인지 손상 판단 불가
- 지속적 모니터링과 비교 검사가 중요
검사 후 활용
- 재활치료 계획 수립: 작업치료, 언어치료, 인지재활
- 복직/복학 판단 기준 제공
- 법적 손해배상 평가 자료로 활용 가능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I-2 : 다면적 성격 검사 (0) | 2025.05.10 |
---|---|
스텐버그(Robert J. Sternberg)의 지능 이론 : 삼원지능이론 (0) | 2025.05.10 |
CVLT : 언어 기억 검사 (0) | 2025.05.09 |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 (0) | 2025.05.08 |
비네검사(Binet 검사) : 지능검사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