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

by bluegreen57 2025. 5. 8.
728x90
반응형
SMALL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Luria-Nebraska Neuropsychological Battery, LNNB) 는 신경심리학적 진단과 평가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 특히 뇌 손상의 위치와 정도를 평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개요: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란?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LNNB)**는 Alexander Luria의 신경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미국의 임상 신경심리학자들이 개발한 표준화된 신경심리검사 배터리입니다. Luria의 정성적 접근법을 양적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통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 배터리: <한 벌>,<갖추어진 기구들> 이라는 의미로, 심리검사는 배터리로 실시되어 평가된다)

  • 개발자: Charles Golden 외
  • 출판년도: 1978년
  • 기반 이론: Alexander Luria의 신경심리학 이론 (특정 뇌 부위가 특정 인지 기능에 관여)
  • 평가 대상: 일반적으로 13세 이상
  • 검사 시간: 약 2~3시간 소요

 검사 목적

LNNB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됩니다:

  1. 뇌 손상 여부 판단
  2. 뇌 손상의 위치 및 범위 추정
  3. 인지 기능 전반에 대한 프로파일 작성
  4. 정신질환과 신경학적 질환의 감별진단
  5. 치료 계획 수립 및 재활 평가

 구성

LNNB는 총 11개의 척도(Scales)로 구성되어 있으며, 269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척도는 뇌 기능의 특정 영역을 측정합니다.

1 Motor Functions (운동기능) :척도명 미세 운동, 조정력, 운동기능  : 평가 내용
2 Rhythm (리듬) 청각적 리듬 인식, 시간 구조 감지
3 Tactile Functions (촉각기능) 감각자극 인식, 위치 감각
4 Visual Functions (시각기능) 시각 인식 및 조직화
5 Receptive Speech (수용언어) 언어 이해 능력
6 Expressive Speech (표현언어) 말하기, 문장 구성 능력
7 Writing (쓰기) 쓰기 능력 및 운동적 협응
8 Reading (읽기) 글자와 단어 인식, 이해력
9 Arithmetic (산수능력) 기본 수 개념 및 계산 능력
10 Memory (기억력) 즉각 기억, 지연 회상
11 Intellectual Processes (지적처리) 문제 해결, 추론력, 추상화

특징 및 장점

  • 정량적 평가 가능: 각 척도 점수가 수치화되어 비교 및 분석이 용이함
  • 정성적 자료 보완: 행동 관찰을 통해 피검자의 질적 반응도 함께 해석 가능
  • 뇌 기능의 위치적 연관성 분석: 국소 뇌 병변 유무를 높은 민감도로 감별 가능
  • 다양한 임상 적용: 치매, 외상성 뇌손상, 뇌종양, ADHD, 학습장애, 우울증 등에서 유용

 점수 해석

  • 각 항목은 0점(정상 반응)에서 2점(심각한 이상)까지 평가됨
  • 총점이 50점 이상이면 신경학적 이상 가능성을 시사
  • 좌뇌 손상 또는 우뇌 손상 패턴을 반영한 해석이 가능함
  • 정규 집단과 비교하여 Z-score 등 통계적 해석도 병행

 사용 시 유의점

  • 검사자의 임상적 해석 능력이 중요
  • 피검자의 교육 수준, 연령, 문화적 배경 고려 필요
  • MMPI 등의 심리검사와 병행 시 진단의 신뢰도 향상

 LNNB의 활용 예시

  1. 외상성 뇌손상(TBI) 환자의 기능 회복 추적
  2.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조기 인지저하 탐지
  3. 뇌종양 수술 전후의 인지기능 비교
  4. **정신질환(정신분열증, 조현병)**에서 인지-신경 병리 감별

 LNNB와 다른 신경심리검사의 비교

기반 이론 Luria의 질적 신경심리학 Halstead의 경험적 접근
검사 시간 약 2~3시간 3~5시간 이상
구조화 수준 중간 고도로 구조화
임상적 해석 용이성 고급 해석 기술 필요 표준 절차에 의한 해석 가능
국소 병변 탐지 능력 뛰어남 뛰어남

 결론

Luria-Nebraska 신경심리검사는 정신과적 진단, 신경학적 평가, 재활 계획 수립 등에서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뇌기능 장애의 유무와 손상 위치를 양적·질적으로 종합 분석할 수 있어, 다양한 임상 장면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