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CVLT : 언어 기억 검사

by bluegreen57 2025. 5. 9.
728x90
반응형
SMALL


CVLT(캘리포니아 언어학습 검사,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는 **언어적 기억력(verbal memory)**을 평가하는 심리검사로, 특히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 학습 전략, 회상 능력, 망각 패턴, 인출 전략 등을 정밀하게 측정합니다.
주로 **신경심리 평가(neuropsychological assessment)**의 일환으로 사용되며, 치매, 외상성 뇌손상(TBI), 정신질환(우울증, 조현병 등), ADHD, 학습장애 등의 평가에 쓰입니다.


 CVLT의 주요 목적

  1. 언어적 학습 능력 평가
  2. 기억 전략의 사용 여부 확인
  3. 지연 회상력 및 인식 기억 평가
  4. 기억 관련 신경기능 이상 감지
  5. 망각 곡선 및 간섭 효과 분석

 검사 구성 (CVLT-II 기준)

총 5단계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1. 학습 단계 (Immediate Recall)

  • 피검자에게 16개의 단어가 포함된 List A를 5번 반복해서 들려줍니다.
  • 각 회차마다 즉시 회상하도록 요청하여, 학습 곡선을 측정합니다.
  • 이 리스트는 의미적으로 4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 과일, 의복, 도구, 탈것 등).

2. 간섭 단계 (Interference Trial)

  • List B라는 새로운 단어 목록을 제시하고 한 번 회상하게 하여, 간섭 효과를 측정합니다.

3. 단기 지연 회상 (Short-Delay Free/Cued Recall)

  • 다시 List A를 회상하도록 요청 (자유 회상 및 단서 회상 실시).
  • List B로 인한 간섭 효과 이후에도 기억이 유지되는지를 평가합니다.

4. 장기 지연 회상 (Long-Delay Free/Cued Recall)

  • 약 20~30분 후, List A의 자유 회상 및 단서 회상을 다시 요구합니다.
  • 장기 기억 저장 여부지속성을 측정합니다.

5. 인식 단계 (Recognition)

  • List A의 단어들과 비슷한 단어(오답 포함)를 섞어 읽어주고, 들은 적 있는 단어인지 판단하게 합니다.
  • 인지적 회상과 인식 기억의 차이를 평가합니다.

 CVLT에서 평가하는 주요 지표

총 학습량 List A에서 총 몇 개 단어를 기억했는지
학습 속도 학습 반복 시 얼마나 빨리 증가하는지
범주화 전략 같은 범주 단어를 묶어서 기억하는 전략 사용 여부
단기/장기 회상 간섭 전후의 기억 유지 정도
인출 vs 인식 회상이 어려워도 인식 능력은 남아있는지
망각률 학습 후 시간이 지난 후 얼마나 망각되는지
오답 유형 침투 오류(리스트에 없던 단어), 반복 오류 등

 임상적 활용 예시

  • 알츠하이머형 치매: 학습 자체가 어렵고 망각률이 높음, 인식 능력도 저하.
  • 우울증: 회상 능력은 떨어지지만 인식은 보존되는 경향.
  • ADHD: 초기 학습은 가능하나 집중 유지 및 기억 전략 부족으로 일관성 없는 성과.
  • TBI: 회상보다 인식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음.

 참고사항

  • CVLT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아동용은 **CVLT-C (Children's Version)**이 따로 존재합니다.
  • 미국 외 국가에서는 문화적 적합성 및 언어 구조 차이로 현지화 버전(K-CVLT 등)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 CVLT는 단순 암기력 이상으로 전략적 기억 처리를 분석하는 데 큰 강점이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