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심리학의 생물학적 관점(Biological Perspective in Psychology)**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뇌, 신경계, 호르몬, 유전자와 같은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설명하려는 접근입니다. 이 관점은 심리 현상을 생리적 기반과 연결 지으려는 시도이며, 심리학을 뇌과학 및 생물학과 통합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 기본 전제
생물학적 관점의 핵심은 다음과 같은 가정들에 기반합니다.
심리 현상은 생물학적 기반을 가진다 | 사고, 감정, 기억, 성격 등은 뇌의 구조와 기능에서 비롯됨 |
신경계는 행동과 감정의 중심이다 | 뉴런 간의 시냅스 전달과 뇌 영역의 활성은 구체적 행동과 정서 반응을 유발 |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은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 | 예: 세로토닌(기분), 도파민(쾌락, 동기), 아드레날린(스트레스 반응) |
유전자는 성격, 지능, 정신질환과 연관된다 | 쌍둥이 연구, 유전자 연관 분석 등으로 확인 가능 |
2. 주요 연구 대상
① 신경과학 (Neuroscience)
- 뇌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함. 특정 뇌 부위가 특정 기능과 관련 있다는 지역화 이론(localization theory)을 바탕으로 발전.
- 예: 전두엽(계획과 판단), 측두엽(언어와 청각), 편도체(공포), 해마(기억) 등
②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s)
- 뉴런 간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물질
- 도파민: 보상, 중독, 운동 조절 (파킨슨병, 조현병 관련)
- 세로토닌: 기분 조절, 수면, 식욕 (우울증, 불안장애 관련)
- 노르에피네프린: 각성, 스트레스 반응
- GABA: 뇌의 억제성 전달물질 (불안 완화, 발작 억제)
- 글루탐산: 흥분성 전달물질 (기억 형성에 중요)
③ 호르몬 (Hormones)
- 내분비계에서 분비되며 장기적인 행동과 감정에 영향
- 코르티솔: 스트레스 반응
- 옥시토신: 애착, 사회적 유대
- 테스토스테론/에스트로겐: 성적 행동, 공격성, 감정 조절 등
④ 유전학 (Behavioral Genetics)
- 행동의 유전적 요인 탐구.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에 주목
- 예: 조현병, 양극성 장애, ADHD 등의 유전적 소인
- 일란성 쌍둥이 연구나 가족 연구 등을 통해 확인
3. 생물학적 관점이 강조하는 심리 현상
기억 | 해마(hippocampus)와 시냅스 강화 과정(LTP, long-term potentiation) |
감정 | 편도체(amygdala)의 반응성과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조절 |
스트레스 | HPA 축(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의 작동 |
우울증 | 세로토닌 부족, 전두엽/해마의 활동 저하, 유전적 소인 |
중독 | 도파민 시스템(보상회로)의 과활성 |
4. 대표 연구 방법
- fMRI, PET, EEG 등: 뇌의 활성 부위를 실시간으로 관찰
- 동물실험: 특정 뇌 영역 제거, 약물 주입 등을 통해 행동 분석
- 유전자 분석: 행동 특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
- 손상 연구(case studies): 특정 뇌 부위가 손상된 환자 분석 (ex. HM 환자, Phineas Gage)
5. 장점과 한계
뇌와 신체에 대한 객관적 측정 가능: 장점 | 인간의 주관적 경험, 문화적 요인을 간과할 수 있음 :한계 |
약물 치료 등의 임상적 응용이 가능 | 생물학적 결정론의 위험 (인간의 자유의지 무시 가능성) |
정신질환의 병리적 이해에 유용 | 사회적 관계나 환경 변화의 역할을 소홀히 할 수 있음 |
6. 생물학적 관점을 대표하는 이론/학자
Paul Broca | 브로카 영역 발견 (언어 생성과 관련된 뇌 부위) |
Roger Sperry | 분리뇌 실험, 좌·우뇌 기능 차이 연구 |
Eric Kandel | 해마, 기억 저장의 생물학적 기초 연구 |
James Olds & Peter Milner | 뇌의 보상 중추(도파민 시스템) 발견 |
Theodore W. Schultz | 도파민과 기대-보상의 관계 규명 (신경경제학 기반) |
정리
생물학적 관점은 인간의 심리를 뇌, 신경, 유전자, 호르몬 등 물질적 기반에서 출발해 설명하는 접근입니다. 이는 약물치료, 신경과학, 유전학과 깊이 연결되며, 정신질환이나 행동장애 이해에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다만, 환경, 문화, 인지, 감정 등의 요소와 함께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전체 인간 심리를 포괄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의 인지주의 관점(cognitive perspective) (0) | 2025.06.26 |
---|---|
심리학의 현상학적 관점(phenomenological perspective) (0) | 2025.06.25 |
반복 패턴 인식 기법(repetition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 (1) | 2025.06.15 |
아동의 사회관계 측정검사 (0) | 2025.06.14 |
아동 심리평가에서 초기면접의 관찰 사항 (2)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