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치료기법

심리학의 인지주의 관점(cognitive perspective)

by bluegreen57 2025. 6. 26.
728x90
반응형
SMALL

심리학의 인지주의 관점(cognitive perspective)은 인간의 마음(mind)을 정보 처리 체계로 간주하고, 우리가 정보를 지각하고, 기억하고,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언어를 사용하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심리학의 한 접근 방식입니다. 이 관점은 1950년대 후반부터 부상했으며, 행동주의(Behaviorism)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에서 출발했습니다.


 1. 인지주의 심리학의 정의

  • 인간을 단순한 자극-반응 기계가 아닌, 능동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존재로 봅니다.
  • 뇌는 컴퓨터와 유사하게 입력된 정보를 인코딩하고 저장하며, 필요시 다시 불러오고 사용하는 처리 시스템으로 이해됩니다.

 2. 핵심 개념

정보처리 이론 인간의 인지 과정을 컴퓨터처럼 입력→처리→출력의 흐름으로 설명
주의(attention) 환경 속 정보 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집중하는 과정
지각(perception) 감각 정보를 조직화하고 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
기억(memory) 감각 기억, 단기 기억, 장기 기억 등으로 나뉘며 정보 저장 및 회상 메커니즘을 탐구
사고(thinking) 정보를 분석하고 판단하며 추론하는 정신적 활동
문제 해결(problem-solving)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인지 전략
언어(language) 의사소통과 사고에 필수적인 기호 체계로서의 언어 구조와 처리 방식 연구

 3. 인지주의의 주요 인물

Jean Piaget 인지 발달 이론: 아동이 단계를 거쳐 사고방식을 발달시킨다고 주장
Ulric Neisser 『Cognitive Psychology』(1967) 출간 – 인지 심리학이라는 용어를 대중화
George A. Miller 단기기억의 ‘매직 넘버 7±2’ 주장
Aaron T. Beck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의 창시자, 우울증은 왜곡된 사고에서 비롯됨을 강조
Albert Ellis 합리-정서 행동치료(REBT)를 개발하여 사고 패턴과 정서 간의 연결 강조

 4. 인지주의 심리학의 적용 분야

임상심리학 인지치료나 CBT를 통해 부정적 자동 사고를 교정
교육심리학 학습자의 정보처리 능력과 메타인지 훈련을 강조
법정심리학 기억 오류, 목격자의 지각 왜곡 등 조사
AI/인지과학 인간의 사고과정을 모델링하여 인공지능에 적용

 5.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비교

인간관 수동적 존재 :행동주의 능동적 정보처리자 :인지주의
연구대상 관찰 가능한 행동 내면의 정신 과정
방법론 자극-반응 관찰 실험 + 정보처리 모형
대표 학자 Watson, Skinner Piaget, Neisser, Beck

 6. 한계와 비판

  • 인간의 감정, 동기, 무의식 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음.
  • 컴퓨터적 메타포가 지나치게 기계적이라는 비판도 있음.
  • 하지만 이후 정서적 요소를 통합한 인지-정서 통합 모델로 발전하고 있음.

 7. 요약

인지주의 관점은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고, 기억하고,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가?"**에 대한 과학적 탐구이며, 현대 심리학, 교육, 임상, 뇌과학, AI 등 다양한 분야에 핵심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