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소크라테스식 문답법(Socratic Questioning)은 인지행동치료(CBT)에서 핵심적인 대화 기법으로,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사고를 탐색하고 재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화된 질문 기법입니다.
1. 개념 정의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이란,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사용한 철학적 대화 방식에서 유래된 기법으로,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질문을 던져 비합리적 사고나 믿음을 스스로 점검하고 대안적 사고를 도출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2. 목적
사고의 근거 탐색 | “왜 그렇게 생각했는가?”를 자문하게 함. |
인지 왜곡 인식 | 왜곡된 사고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드러냄. |
대안적 사고 생성 | 스스로 더 현실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발견하도록 유도. |
자기성찰 강화 | 피상적인 감정 반응에서 벗어나 사고의 구조를 이해. |
3. 문답법의 핵심 원리
- 비판이 아닌 탐색: 치료자는 판단이나 충고 없이 “질문”만으로 사고 구조를 드러냅니다.
- 내담자 주도적 발견: 정답을 제공하기보다는 내담자가 스스로 “깨닫게” 합니다.
- 개방형 질문 사용: ‘예 / 아니오’가 아닌,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질문을 활용합니다.
4. 질문 유형별 예시
명확화 질문 | 애매한 표현 구체화 | “그게 무슨 뜻인가요?” “좀 더 자세히 말해주실 수 있나요?” |
가정 탐색 | 사고의 전제 찾기 | “그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
증거 확인 | 사고의 근거 검토 | “그 생각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나요?” “그게 사실이라는 증거는 무엇인가요?” |
반증 탐색 | 다른 가능성 탐색 | “그 반대 증거는 없을까요?”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어떻게 보일까요?” |
대안 제시 | 새로운 해석 탐색 |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면 어떤 방식이 있을까요?” |
결과 확인 | 사고가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식 | “그 생각이 계속되면 어떤 결과가 생길까요?” |
현실성 점검 | 사고의 과장이나 왜곡 점검 | “이 일이 항상 그런가요?” “그 일이 반드시 일어나야 할까요?” |
5. 실제 적용 사례
내담자 발언:
“나는 발표를 망쳤어. 모두가 날 무능하다고 생각했을 거야.”
치료자의 소크라테스식 문답:
- “발표가 망쳤다고 느끼신 이유는 뭔가요?” (명확화)
- “사람들이 당신을 무능하다고 생각했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있었나요?” (증거 확인)
-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없을까요?” (반증 탐색)
- “만약 친구가 그런 발표를 했다면, 당신은 그 친구를 무능하다고 생각했을까요?” (역지사지)
- “이 생각이 지속되면, 당신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 (결과 확인)
내담자의 통찰:
“내가 완벽하지 않았다고 해서 무능하다고 볼 순 없겠네요. 사람들도 아마 그 정도로는 신경 안 썼을 것 같아요.”
6. 적용 방법 및 팁
- 사고기록지 작성과 병행하면 효과적입니다.
- 내담자의 말 중 자동적 사고가 담긴 표현을 캐치해 질문을 이어갑니다.
- 때로는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보다, **"그 생각은 어디서 왔을까요?"**처럼 부드럽고 간접적인 표현이 방어를 줄입니다.
- 감정적으로 예민한 주제일 경우, 질문의 속도를 늦추고 공감적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소크라테스식 문답의 효과
인지적 거리두기 | 자신의 사고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음 |
자율성 향상 | 타인 의존이 아닌 자기 사고를 점검하는 힘 |
감정 조절 | 비합리적 사고가 완화되며 감정 반응이 안정됨 |
자기 통찰 | 왜 그런 사고가 형성되었는지 스스로 이해 |
요약
정의 | 반복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사고를 점검하고 수정하도록 돕는 대화 기법 |
구성 요소 | 명확화, 증거 탐색, 반증 탐색, 대안 제시, 결과 확인 등 |
치료 효과 | 사고 인식 및 재구성, 감정 안정, 자기통찰 증진 |
핵심 특징 | 비판 없이, 정답 제시 없이, 내담자가 스스로 답을 찾도록 유도 |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기법 (1) | 2025.07.09 |
---|---|
행동 실험(Behavioral Experiment) 기법 (0) | 2025.07.05 |
사고기록지(Thought Record) 기법 (0) | 2025.07.03 |
인지 왜곡 목록 활용 기법 (0) | 2025.07.02 |
모델링(Modeling) (1)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