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치료기법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 안구운동 둔감화 및 재처리

by bluegreen57 2025. 3. 23.
728x90
반응형
SMALL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란?

**"안구운동 둔감화 및 재처리"**라는 뜻의 치료 기법으로, 1987년 미국의 심리학자 **프랜신 샤피로(Francine Shapiro)**가 개발했습니다.
원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이후 불안, 공황, 우울, 중독, 복합 트라우마 등 다양한 문제에 확장 적용되고 있습니다.


 EMDR의 기본 원리

트라우마는 우리의 뇌가 정보를 건강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기억 속에 '고정'된 상태로 남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고나 충격적인 경험이 시각적·청각적 이미지, 감정, 신체 감각과 함께 강하게 기억되어 평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죠.

EMDR은 **양측성 자극(Bilateral Stimulation)**을 통해 고정된 트라우마 기억을 뇌가 다시 '처리'하도록 돕습니다.
대표적인 양측성 자극은 안구 움직임이지만, **양손 탭(tapping)**이나 소리 자극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MDR 치료의 8단계 구조

  1. 내담자 준비 및 치료 계획 수립
    •     상담사와 신뢰 관계 형성
    •     치료 대상이 되는 기억(트라우마) 선정
  2. 자원 개발(Resource Development)
    •     안정화 기법 교육(예: 심호흡, '안전한 장소' 상상하기)
    •     내담자가 감정적으로 준비될 수 있도록 돕는 단계
  3. 평가 단계(Assessment)
    •     트라우마 기억에 대한 이미지, 믿음(자기 인식), 감정, 신체감각 등을 탐색
    •     부정적인 신념과 긍정적인 신념을 구분 (예: “나는 무력하다” → “나는 강해질 수 있다”)
  4. 둔감화(Desensitization)
    •     양측성 자극을 제공하며 트라우마 기억에 집중하게 함
    •     자극을 반복하면서 감정 반응이 점차 약해짐
  5. 재처리(Installation)
    •     부정적인 신념 대신 긍정적인 신념을 '강화'
    •     트라우마 기억이 새로운 의미로 통합됨
  6. 신체 점검(Body Scan)
    •     기억에 대해 생각했을 때 남아있는 신체감각이 있는지 확인
    •     감정과 신체 반응이 일치하는지를 점검
  7. 마무리(Closure)
    •     세션을 안정감 있게 종료
    •     안정화 기법 복습
  8. 재평가(Re-evaluation)
    •     다음 세션에서 이전 효과 유지 여부 확인
    •     필요시 추가 세션 진행

과학적 근거와 뇌 기능 변화

  • 연구에 따르면 EMDR은 편도체(amygdala), 해마(hippocampus),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의 기능적 연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 이는 감정 조절, 기억 재구성, 스트레스 반응 감소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EMDR의 장점

  • 빠른 효과: 일반적인 대화 중심의 치료보다 더 빠른 회복 사례가 많음
  • 비언어적 접근 가능: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기억에도 접근 가능
  • 자기 주도성 향상: 내담자가 직접 자신의 기억을 재처리하는 방식

적용 가능한 문제들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아동기 학대나 방임
  • 애착 문제
  • 공황장애, 불안장애
  • 복합 트라우마
  • 강박증, 중독 등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