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플라시보의 정의
플라시보는 실제로는 치료 효과가 없는 가짜 치료나 약물이지만, 환자가 그것을 진짜로 믿을 경우, 실제로 증상이 호전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를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라고 부릅니다.
예: 설탕 알약을 "신약"이라고 속이고 투여했을 때, 환자가 통증 감소나 기분 개선을 경험하는 경우.
2. 플라시보의 유형
- 약물형 플라시보: 설탕 알약, 식염수 주사 등 실제 약리 작용이 없는 물질.
- 시술형 플라시보: 가짜 수술(예: 절개만 하고 실제 수술은 하지 않음), 가짜 침술 등.
- 심리적 플라시보: 의사나 치료자의 말투, 분위기, 전문적인 복장 등이 주는 암시 효과.
3. 플라시보 효과가 발생하는 메커니즘
플라시보 효과는 단순한 착각이 아니라, 뇌와 신경계의 실질적인 반응을 포함합니다.
- 기대(expectation): 환자가 "이 약이 나를 낫게 해 줄 거야"라고 믿는 순간, 뇌는 진짜 치료가 일어날 것처럼 반응합니다.
-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과거에 약을 먹고 나았던 기억이 반복되면서, 유사한 상황에서 뇌가 자극에 반응함.
- 내인성 진통제 분비: 도파민, 엔도르핀, 세로토닌 같은 뇌 화학물질이 분비되어 실제 통증 감소나 기분 향상이 일어날 수 있음.
4. 의학에서의 활용
- 임상시험에서 신약의 효과를 검증할 때 반드시 플라시보 대조군을 설정합니다.
- 플라시보보다 유의미하게 더 나은 효과를 보일 경우, 그 약물은 '효과가 있다'고 평가받습니다.
- 통증, 우울증, 불면증 등 심리적 요소가 큰 질환에서 플라시보 효과는 특히 강하게 나타납니다.
5. 플라시보의 반대: 노시보(Nocebo)
노시보 효과는 플라시보의 반대 개념입니다.
환자가 "이 약은 부작용이 있을 거야"라고 믿으면, 실제로는 해가 없는 약인데도 두통, 메스꺼움, 불안 등 부작용을 경험하게 됩니다.
6.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논의
- 비윤리성 논란: 의사가 환자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는 주장도 있음.
- 긍정적 활용 가능성: 효과를 알고도 플라시보를 처방하는 '개방형 플라시보(open-label placebo)' 연구도 최근 증가 중.
- 심리치료와의 접점: 믿음, 기대, 인간 관계가 치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는 중요한 단서.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이상심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2) | 2025.04.02 |
---|---|
발달장애와 자폐증의 비교 분석 (0) | 2025.03.31 |
트라우마 (0) | 2025.03.25 |
허위성 장애 (Factitious Disorder) (1) | 2025.03.25 |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히스테리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