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그루밍(Grooming)

by bluegreen57 2025. 4. 21.
728x90
반응형
SMALL

1. 심리학 및 범죄학적 의미의 '그루밍'

정의

그루밍(Grooming)은 아동이나 청소년, 혹은 취약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적 조작 또는 친밀감 구축 전략으로, 성적 착취 혹은 심리적 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성범죄, 온라인 유인, 사이비 종교 포섭, 심리적 가스라이팅 등에서 나타납니다.


그루밍의 단계 (일반적 유형 분석)

심리학자들과 법적 사례 분석에 따르면, 그루밍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단계: 타깃 선정 나이, 성격, 가정환경, 사회적 고립 등 ‘취약한’ 대상을 찾음.
2단계: 신뢰 형성 친절, 관심, 선물, 보호자로서의 역할 등으로 관계 형성.
3단계: 비밀 공유 개인적 대화, 고민 상담 등을 통해 관계의 밀도를 높임. 주변과 고립되도록 유도.
4단계: 경계 흐림 스킨십, 음란한 대화, 성적 암시 등 점진적 접근. 경계 무력화.
5단계: 착취 행동 성적 착취, 정서적 지배, 경제적 통제 등 직접적 해악 실행. 이후 협박이나 회유.

주요 특징

  • 장기적인 전략: 일회성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관계를 조작.
  • 피해자의 인식 왜곡: 피해자가 가해자를 ‘좋은 사람’으로 인식하거나 자신이 잘못한 것처럼 느끼게 함.
  • 제삼자에게 설명하기 어려움: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관계를 유지한 것처럼 보일 수 있음.

그루밍 피해가 잘 일어나는 상황

  • 가정 내 불화나 정서적 결핍
  • 또래관계의 단절
  • 온라인 채팅 앱, 게임 등 비대면 환경
  • 권위 있는 인물(교사, 종교인, 멘토 등)과의 관계

그루밍과 관련된 범죄 예시

  • 디지털 성범죄: 온라인을 통한 아동 포섭 및 영상 촬영 유도
  • 가스라이팅: 정서적 조작을 통한 상대방의 판단력 약화
  • 사이비 종교의 포섭 전략: 외로운 개인을 관심과 애정으로 포섭한 뒤 헌신 강요

2. 동물행동학에서의 '그루밍'

정의

동물학에서는 동물들이 털이나 피부를 정리하거나 서로 핥는 등의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청결 유지뿐 아니라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행위로 간주됩니다.


의미와 기능

  • 청결 유지: 기생충 제거, 피부 건강 유지
  • 스트레스 해소: 자가 그루밍은 불안을 완화시킴
  • 사회적 유대: 상호 그루밍은 동물 간 친밀감을 높임
  • 위계 형성: 어떤 동물이 누구를 더 자주 그루밍하느냐는 서열 관계를 반영

 참고: 인간 사회에서 '그루밍'의 문화적/비유적 사용

  • 사회적 그루밍: 인간도 타인과 친해지기 위해 선물, 칭찬, 도움을 주는 ‘사회적 그루밍’을 사용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Robin Dunbar의 사회적 두뇌 가설).
  • ‘그루밍’이라는 표현이 부정적 의미로 고착됨: 특히 디지털 시대 이후에는 범죄적 맥락에서 주로 사용됨.

 정리

범죄 심리적 그루밍 심리 조작을 통해 성적 착취나 통제 유도 :정의 아동, 청소년, 취약 성인   : 주대상 장기적 조작, 신뢰 유도, 피해자 혼란 유도 : 특징
동물행동학적 그루밍 청결 또는 유대 강화를 위한 몸단장 행동 포유류, 조류 등 사회성, 서열, 스트레스 조절
사회문화적 그루밍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관계 구축 행위’ 모든 인간 관계 관심 표현, 친밀도 증가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이상심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집성 인격장애(PPD)  (0) 2025.04.24
무시증후군 (Neglect Syndrome)  (0) 2025.04.22
가스라이팅(Gaslighting)  (0) 2025.04.21
소시오패스(sociopath)  (0) 2025.04.21
저장장애(Hoarding Disorder)  (1)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