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집중력 검사(concentration or attention test)

by bluegreen57 2025. 4. 26.
728x90
반응형
SMALL

 집중력 평가는 임상 심리학, 교육학, 직무 능력 평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며, 개인의 주의집중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집중력 검사란?

**집중력 검사(concentration or attention test)**는 피검자의 주의집중 능력, 즉 특정 자극에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거나 여러 자극 중 관련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심리검사입니다.

집중력은 크게 다음과 같은 요소로 나뉘어 측정됩니다:

 

지속적 주의력 장시간 동안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 능력
선택적 주의력 불필요한 자극을 배제하고 필요한 자극에만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
분할 주의력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능력
전환 주의력 한 자극에서 다른 자극으로 주의를 빠르게 바꾸는 능력

 주요 집중력 검사 도구

1. CPT (Continuous Performance Test)

  • 한국어명: 연속 수행 검사
  • 형태: 컴퓨터 기반, 일정한 간격으로 제시되는 자극(예: 숫자나 글자)을 보고 특정 자극에 반응
  • 측정 항목: 지속적 주의력, 충동성, 반응 속도, 오류율
  • 용도: 주로 ADHD 진단이나 인지기능 평가에 사용됨

2. TMT (Trail Making Test)

  • A형: 숫자를 순서대로 연결 (1 → 2 → 3...)
  • B형: 숫자와 문자를 번갈아 연결 (1 → A → 2 → B...)
  • 측정 항목: 시각-운동 속도, 주의력, 작업 전환 능력
  • 활용 분야: 신경심리검사, 노인 인지 기능 저하 평가 등

3. Stroop Test (스트룹 검사)

  • 단어의 의미와 색상이 충돌될 때 얼마나 잘 통제하고 반응하는지를 평가
  • 예: "빨강"이라는 단어가 파란색 글씨로 적혀 있으면 "파랑"이라고 말해야 함
  • 측정 항목: 선택적 주의력, 인지적 억제 능력

4. BGT (Bender-Gestalt Test)

  • 시각적 자극을 따라 그림을 그리며 시지각 능력과 집중력 등을 간접 평가
  • 용도: 아동의 발달 평가, 신경학적 손상 감지

집중력 검사 활용 예시

 

임상심리 ADHD, 조현병, 우울증 등과 관련된 주의력 저하 평가
교육 현장 학습부진, 주의력 결핍 평가 및 지도 방향 설정
산업 및 직무 평가 고도의 집중이 필요한 업무(파일럿, 감시직 등)의 적성 평가
노인 인지 평가 초기 치매, 인지 장애 평가 시 사용

 결과 해석

검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해석됩니다:

  • 오류율 (실수의 빈도)
  • 반응 시간 (정확한 반응에 걸리는 시간)
  • 지속성 지표 (집중력 유지 능력)
  • 주의 편향 (자극에 대한 과도하거나 부족한 반응)

결과는 **표준화된 규준(norm)**과 비교하여 개인의 집중력 수준이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지 등을 판단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