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노인 기억장애 검사

by bluegreen57 2025. 4. 24.
728x90
반응형
SMALL

노인 기억장애 검사는 주로 경도인지장애(MCI) 또는 **치매(특히 알츠하이머병)**와 같은 인지기능 저하 여부를 조기에 발견하고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심리검사와 신경심리검사를 포함합니다. 


 1. 기억장애 평가의 목적

  • 노인의 기억력 저하가 정상적인 노화에 따른 것인지, **병리적 상태(예: 치매)**인지 감별하기 위해 사용
  • 조기진단을 통해 치료적介入 또는 생활환경 조정 가능
  • 노인의 일상생활 기능과 삶의 질 평가에 도움

 2. 주요 기억장애 검사 종류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간이정신상태검사)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선별 검사
  • 인지기능 전반을 평가하며, 기억력 항목 포함
  • 총점: 30점 (24점 미만이면 인지장애 의심)
  • 구성:
    • 지남력 (시간, 장소)
    • 기억등록 및 회상
    • 주의력과 계산력
    • 언어 및 실행기능

MoCA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 경도인지장애에 더 민감함
  • MMSE보다 더 폭넓고 깊이 있는 항목 포함
  • 구성:
    • 지각, 시공간 능력
    • 집행기능
    • 단기기억 회상
    • 언어 유창성
    • 추론 및 추상능력
    • 주의력

CERAD-K (한국어판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위한 신경심리검사 도구)

  • 치매 진단을 위해 국내에서 많이 사용됨
  • 기억력 외에도 다양한 인지 기능 영역 평가
  • 주요 하위검사:
    • 단어 목록 기억 (즉각 회상, 지연 회상, 재인)
    • 구성도형 기억
    • 보스턴 이름 대기 검사
    • 동물 이름 대기
    • 시공간 구성 능력

RCFT (Rey Complex Figure Test)

  • 복잡한 도형을 보고 따라 그리기 → 즉각적 시공간 기억
  • 몇 분 후 도형을 다시 그리기 → 지연 기억 능력 평가
  • 기억 유형뿐 아니라 시공간 처리 능력도 함께 평가

K-WMS (한국판 웩슬러 기억 척도, Wechsler Memory Scale)

  • 장기 및 단기기억, 시청각 기억, 작업기억 등 포괄적 평가
  • 다양한 하위검사로 구성 (논리적 기억, 시각 재생, 숫자 반복 등)
  • 노인 기억장애의 정밀 평가에 적합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 (BNT / K-BNT)

  • 기억력과 함께 언어 유창성, 명칭 능력 평가
  • 알츠하이머 치매에서 자주 관찰되는 명칭장애 확인 가능

 3. 검사의 실제 활용 예시

MMSE 전체 인지기능 치매 선별 검사
MoCA 경도인지장애 포함 전체 인지기능 MCI 조기 진단
CERAD-K 기억, 언어, 시공간 등 알츠하이머 진단 보조
RCFT 시공간 기억, 시각처리 기억력 및 시공간 기능 평가
WMS 시각, 청각, 작업기억 등 기억기능 정밀 평가
BNT 언어 기억, 명칭 능력 명칭장애 확인 및 치매 감별

 4. 검사 시 유의사항

  • 교육 수준, 연령, 문화적 배경에 따라 점수 해석 주의 필요
  • 검사 전날 충분한 수면과 식사 권장
  • 감정 상태(우울증, 불안)도 검사 결과에 영향 줄 수 있음
  • 신체질환이나 약물 복용 상태도 고려 필요

 5. 결론

노인의 기억장애 평가는 단순히 "기억력 저하" 여부를 보는 것을 넘어서, 전체적인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영향 정도까지 포괄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MMSE나 MoCA 같은 선별 검사로 1차 평가한 후, CERAD-K, K-WMS 등의 정밀검사로 보완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