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CDI 정서 행동평가 :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수준 평가

by bluegreen57 2025. 4. 26.
728x90
반응형
SMALL


CDI 정서 행동평가(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는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자기 보고식 심리검사입니다. 주로 7세에서 17세 사이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우울증의 존재 및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적 개입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검사 개요

 

정식 명칭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개발자 Maria Kovacs (1977)
대상 만 7세 ~ 17세 아동·청소년
검사 형태 자기보고식, 문항 수 27개
소요 시간 약 10~15분
사용 목적 우울감의 정도 및 양상 파악, 임상적 개입 필요성 평가

 2. 주요 평가 영역

CDI는 아동의 정서적·인지적·행동적 우울 증상을 다각도로 평가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하위 척도로 구성됩니다:

  1. 부정적 자아 (Negative Self-Esteem)
    •     자신에 대한 부정적 평가나 열등감 등
  2. 무기력감 (Ineffectiveness)
    •     무기력함, 학업 수행에 대한 자신감 부족 등
  3. 기쁨 상실 (Anhedonia)
    •     즐거움이나 흥미 감소, 활력 저하 등
  4. 부정적 기분 (Negative Mood)
    •     슬픔, 울고 싶음, 짜증 등의 감정
  5. 대인관계 문제 (Interpersonal Problems)
    •     친구와의 갈등, 외로움 등

 3. 문항 예시

각 문항은 세 가지 선택지(0~2점) 중 하나를 고르도록 되어 있으며, 아동이 자신의 지난 2주간 상태를 기준으로 응답합니다.

예시 문항:
"나는 자주 슬프지 않다(0) / 나는 자주 슬프다(1) / 나는 항상 슬프다(2)"

총점은 0~54점 범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다고 해석합니다.


 4. 해석 및 활용

  • 임상적 경계 점수: 대체로 19~20점 이상일 경우, 임상적 평가나 상담이 권장됩니다.
  • 스코어 활용: 진단 도구라기보다는 선별(Screening)상담 초기 평가로 활용됩니다.
  • 변화 추적: 치료 중 변화 정도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5. 유의사항

  • 자기보고식이므로 아동의 인지 능력과 솔직성에 따라 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
  • 단독 진단용이 아니며, 임상 면담이나 추가 심리검사(CBCL, K-YSR 등)와 함께 해석해야 정확성 확보 가능

 참고: 한국판 CDI

  • 국내에서는 CDI-K 또는 CDI-2(개정판)이 사용됩니다.
  • 한국판은 표준화 작업을 거쳐 연령별, 성별 규준이 제공됩니다.
  • 학교나 상담기관, 정신건강의학과 병원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