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심리검사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Boston Naming Test, BNT)

by bluegreen57 2025. 4. 22.
728x90
반응형
SMALL

 임상 신경심리학과 언어장애 평가에서 중요한 검사로, 치매나 뇌 손상, 언어장애 진단에 자주 활용됩니다.


 1. 개요 및 정의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Boston Naming Test, BNT)**는
**시각적 자극에 대한 명칭 회상 능력(이름 대기, naming ability)**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언어 중추(특히 좌측 측두엽 및 전두엽)에 손상이 있을 때 이름 대기 장애(anomia)가 관찰되며,
이 검사는 이런 언어적 접근 장애나 의미 기억 손상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2. 검사 목적

  • 언어 기능 중 이름 대기(naming) 능력 측정
  • **언어처리 장애(실어증, 치매 등)**의 정도와 유형 파악
  • 측두엽 및 전두엽 기능 평가
  • 치매,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발달장애, 언어장애 감별

 3. 검사 도구 및 구성

 원판 (원본 BNT)

  • 60개의 선 그림(line drawings) 제시
  • 난이도 순서에 따라 배열 (쉬운 → 어려운)

 한국판(K-BNT)

  • 일반적으로 15개, 30개, 60개로 구성된 버전이 있음
  • 문화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그림과 어휘 조정됨
    (예: ‘하프(harp)’는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으므로 대체)

 4. 실시 방법

  1. 피검자에게 단어 없이 그림을 제시
  2. 피검자가 그 그림의 이름을 말함
    (예: 고양이 그림 → “고양이”라고 말해야 함)
  3. 응답 시간이 제한됨 (일반적으로 20초 내외)
  4. 단서 제공 방식
    •     의미 단서 (semantic cue): “이건 동물이야.”
    •     음운 단서 (phonemic cue): “고...로 시작해.”

 5. 채점 방식

정확한 자발적 응답 1점 단서 없이 맞힘
단서 후 맞힘 0점 또는 0.5점 버전에 따라 다름
오답 또는 무반응 0점 명확한 오류, 무응답

※ 한국판 K-BNT는 반응시간, 단서 반응 여부, 오류 유형 분석도 함께 고려됩니다.


 6. 임상적 해석

 낮은 점수의 시사점

  • 좌측 측두엽 또는 전두엽 손상
  • 치매(특히 알츠하이머병) — 의미기억 손상
  • 실어증(특히 명명장애형) — 언어처리 회로 이상
  • 우울증, 주의력 결핍 — 주의집중 및 동기 저하

 오류 유형 분석

  • 의미 오류 (semantic paraphasia): ‘사자’ 그림에 “호랑이”라고 말함
  • 음운 오류 (phonemic paraphasia): “고양이” 대신 “고양”
  • 비관련 오류: 전혀 다른 단어를 말함
  • 무반응 (anomia): 이름을 전혀 떠올리지 못함

 7. 장점과 한계

 

언어기능 정밀 평가 가능 : 장점 교육수준 및 문화적 영향 민감 : 한계
치매 조기 진단에 효과적 단어 빈도와 친숙도에 따라 난이도 차이
다양한 버전으로 구성 가능 시각적 처리 능력 영향 가능성 있음

 8. 관련 검사와 병행 가능성

  • K-WAB (Western Aphasia Battery) – 실어증 평가
  • K-MMSE, SNSB, CERAD – 인지기능 스크리닝과 함께 활용
  • Luria-Nebraska, Benton 시각기억 검사 – 신경심리적 연계 해석

 9. 활용 사례

치매 감별 진단 알츠하이머 vs 혈관성 치매 — 의미기억 손상 여부 비교
뇌졸중 환자 언어 재활 실어증 유형과 회복 정도 평가
학습장애 아동 어휘력과 시각-언어 연결 문제 평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