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접촉 도착장애(RAD)

by bluegreen57 2025. 5. 1.
728x90
반응형
SMALL

 정의

접촉 도착장애아동기 초기의 극심한 정서적 방치 또는 반복적인 돌봄 실패로 인해 주요 양육자와의 안정적인 애착 관계 형성에 실패하고, 이후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 조절에 광범위한 어려움을 겪는 심각한 애착장애입니다.

이 장애는 주로 5세 이전에 발현되며, 양육자에 대한 회피적 반응, 정서적 위축, 그리고 또래나 성인과의 관계 형성 실패 등이 특징입니다.


 진단 기준 (DSM-5 기준 요약)

DSM-5에서는 접촉 도착장애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A. 양육자에게 접근하거나 반응하는 방식에서 명백한 장애:

  • 위로받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에서 양육자에게 접근하지 않거나 반응하지 않음.
  • 정서적 반응의 심한 억제 또는 불일치가 관찰됨.

B. 정서적 및 사회적 반응성의 지속적 결핍:

  • 사회적·정서적 반응의 제한 (예: 미소 없음, 감정 표현 감소).
  • 양육자 또는 낯선 사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즐거움 결여.

C. 극단적인 양육 실패 경험이 있음:

  • 반복적인 양육자의 변화 (예: 위탁 가정 전전).
  • 기본적인 정서적 요구 무시.
  • 기관이나 집단 양육 환경에 노출됨.

D. 장애는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설명되지 않으며, 5세 이전에 시작되어야 함.


 발병 원인

1. 양육 실패

  • 반복적인 무관심, 학대, 방임
  • 양육자 부재 혹은 무감정한 보호자

2. 시설 보호 환경

  • 영아기에 **기관 보호(예: 고아원)**에 오래 머문 경우
  • 수시로 바뀌는 돌봄 제공자

3. 외상 경험

  • 조기 외상 (예: 신체적·정서적 학대)
  • 신뢰 기반 형성 실패

 주요 증상

대인 관계 양육자에게 접근하지 않음, 낯선 사람에게도 반응이 무디거나 반응 없음
정서 표현 무감동, 즐거움 표현 결핍, 불안정한 정서
행동 분노 폭발, 위축, 자해 경향 (일부 경우)
발달 언어 지연, 인지 지연, 사회성 발달 지연 가능

 진단 시 고려 사항

  •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구별 필요 (RAD는 관계 형성 자체가 결여되며, 사회적 소통은 일부 가능)
  • 양육 환경에 대한 충분한 사정이 필수
  • 행동뿐 아니라 정서적 반응과 애착 관계 전반에 대한 평가가 중요

 치료 접근

1. 안정된 양육 환경 조성

  • 지속적인 돌봄 제공자
  • 예측 가능하고 일관된 반응

2. 애착 중심 치료

  • 애착기반 놀이치료
  • Dyadic Developmental Psychotherapy (DDP): 아이와 양육자 간 감정적 연결 회복

3. 부모 훈련 및 상담

  • 양육자의 공감 능력 강화
  • 반응성 훈련(Responsive Parenting)

4. 개별 심리치료

  • 정서 인식 및 표현 훈련
  • 트라우마 중심 치료 (예: TF-CBT)

 예후

  • 조기 개입이 핵심이며, 안정적인 애착 경험이 지속되면 회복 가능성 높음.
  • 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사회적 고립, 반사회적 행동, 우울, 불안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