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편집증(paranoia)

by bluegreen57 2025. 5. 9.
728x90
반응형
SMALL

 편집증 (Paranoia) 개요

**편집증(paranoia)**는 자신이 피해를 입고 있거나, 누군가가 자신을 속이거나 해치려 한다는 비현실적인 의심이나 망상을 지속적으로 가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정신질환의 하위 증상 또는 특정 성격특성으로 나타나며, 심한 경우에는 망상장애나 조현병의 한 증상으로 분류됩니다.


 1. 정의와 특징

정의 타인이나 외부 세계에 대한 병적인 의심과 불신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핵심 증상 피해망상, 과도한 의심, 과잉 경계, 적개심, 불신
정신질환 분류 망상장애(피해형), 조현병, 편집성 성격장애에서 나타남

 2. 주요 증상

다음은 편집증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들입니다:

  • 피해망상:
    "누군가가 나를 감시하고 있다", "내 전화가 도청당하고 있다", "회사 사람들이 나를 해치려 한다"
  • 의심과 불신:
    타인의 말이나 행동을 항상 의심하며, 친구나 가족의 행동도 쉽게 신뢰하지 않음
  • 과도한 경계심:
    주변 상황을 지나치게 민감하게 해석하고 방어적으로 반응
  • 자기중심적 사고:
    세상의 중심이 자신인 것처럼 느끼며, 모든 사건이 자신과 관련되어 있다고 여김
  • 논리적이지만 왜곡된 해석:
    외부 사건에 대해 나름대로 논리를 구성하지만 사실과는 맞지 않음

 3. 원인

생물학적 요인 도파민 과잉활동, 전두엽 및 측두엽 기능 이상, 유전적 소인
심리사회적 요인 아동기 외상, 신뢰 형성 실패, 만성 스트레스, 사회적 고립
성격적 요인 편집성 성격, 자기애적 경향, 낮은 자존감
환경적 요인 감시 사회, 통제 중심 문화, 관계에서의 배신 경험

 4. 편집증이 나타나는 정신질환 유형

편집성 성격장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광범위한 불신과 의심이 지속됨. 망상 수준은 아님.
망상장애 - 피해형 (Delusional Disorder, Persecutory Type) 현실과 동떨어진 피해망상을 1개월 이상 지속
조현병 (Schizophrenia) 피해망상과 함께 환청, 사고 장애, 이상행동이 동반됨
양극성 장애(조증 상태) 과대망상과 함께 피해망상이 나타날 수 있음

 5. 진단 기준 (DSM-5 기준 일부 예시)

망상장애 – 피해형 진단 기준 요약:

  1. 1개월 이상 지속되는 망상
  2. 조현병의 진단 기준에는 해당되지 않음 (예: 환청 없음)
  3. 기능은 비교적 유지되며, 이상행동은 제한적
  4. 기분 장애가 동반되더라도 망상이 주요 증상
  5. 물질이나 다른 질환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님

 6. 치료 방법

1) 약물 치료

  • 항정신병 약물 (ex.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할로페리돌 등)
    • 망상 완화에 사용
  • 항불안제, 항우울제
    • 불안과 우울이 동반될 경우

2) 심리치료

  • 인지행동치료 (CBT)
    • 왜곡된 믿음과 사고패턴을 수정
  • 심리역동치료
    • 불신의 근원, 과거 경험 탐색
  • 가족치료 및 사회기술훈련
    • 대인관계 개선과 사회적 기능 회복을 도모

3) 입원 치료

  • 심각한 망상이 행동화되거나 위험성이 있는 경우 필요

 7. 편집성 성격과 편집증  (망상 수준) 의 차이

지속성 청소년기부터 평생 : 편집성 보통 성인기 이후 발병 : 편집증
현실 판단력 대체로 유지됨 심하게 손상됨
망상의 정도 과장된 불신 사실과 완전히 괴리된 망상
사회기능 어렵지만 가능 기능 저하 심함

 참고: 문학적 표현 예시

편집증적인 인물은 종종 문학이나 영화에서 비극적, 긴장감 있는 캐릭터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 1984」의 윈스턴 스미스 – 감시와 조작에 대한 편집증적 감정
  • 영화 「뷰티풀 마인드」 – 망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수학자 존 내쉬
  • 소설 속 '불신'과 '배신' 테마의 주인공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