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기법은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CBT)와 불교의 마음챙김 명상(Mindfulness Meditation)을 융합한 제3세대 인지행동치료의 대표 기법입니다.
1. 개념 정의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는
기존의 인지치료가 자동적 사고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두는 것과 달리,
사고의 내용보다는 사고와 감정에 대한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에 중심을 둡니다.
핵심 철학:
“생각은 사실이 아니라, 단지 생각일 뿐이다.”
2. MBCT의 탄생 배경
- 1990년대 후반, Zindel Segal, Mark Williams, John Teasdale 등이
우울증 재발 예방을 목적으로 개발 - MBSR(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과 CBT를 결합
- 현재는 우울증뿐 아니라 불안장애, 만성통증, 강박, ADHD 등에도 확대 적용
3. MBCT의 주요 치료 목표
자동적 반응에서 벗어나기 | 사고와 감정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패턴을 자각 |
수용과 비판단 | 불편한 감정이나 신체 감각을 회피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기 |
현재 순간에 집중 | 과거의 후회, 미래의 불안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에 집중 |
재발 방지 | 우울/불안의 재발을 조기에 인식하고 대응하기 |
4. 마음챙김(Mindfulness)의 정의
마음챙김이란,
현재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되,
판단 없이,
의도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경험을 알아차리는 정신 상태입니다.
핵심 키워드: 지금-여기, 비판단적 태도, 수용, 깨어있음
5. MBCT의 핵심 기법 구성 (8주 프로그램 기준)
1주차 | 자동 조종 모드 인식 | 레이즌(건포도) 명상, 호흡 인식 훈련 |
2주차 | 주의 전환 훈련 | 걷기 명상, 소리 명상 |
3주차 | 감정의 패턴 관찰 | 생각-감정-신체반응 인식하기 |
4주차 | 현재 순간에 머무르기 | 순간순간의 경험에 의식 머물기 |
5주차 | 어려운 감정 다루기 | ‘산처럼 있기’, 통증 명상 |
6주차 | 생각을 ‘그냥 생각’으로 보기 | 사고와 거리두기 훈련 |
7주차 | 자기돌봄과 수용 | 자비 명상, 자기 연민 훈련 |
8주차 | 통합과 유지 | 개인화된 실천 계획 수립 |
6. 대표적 실습 기법
호흡 명상 | 들숨과 날숨의 흐름에 집중하며 주의가 흐트러질 때 알아차리고 다시 돌아오기 |
신체 스캔(body scan) |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 감각에 주의 기울이기 |
걷기 명상 | 걷는 동안 발바닥의 감각, 균형, 리듬에 집중 |
사고 관찰 훈련 | 떠오르는 생각을 마치 구름처럼 관찰하며 판단하지 않기 |
감정 라벨링 | “슬픔이 오는구나”, “두려움이 있구나”처럼 감정을 있는 그대로 명명 |
7. MBCT와 전통적 CBT의 비교
초점 | 사고의 내용 변화 : 전통적 CBT | 사고와의 관계 변화: MBCT |
접근 | 분석적·논리적 | 수용적·직관적 |
핵심 전략 | 사고 도전, 재구성 | 관찰, 거리두기, 수용 |
사용 대상 | 다양한 인지 왜곡 | 반복적 사고, 반추, 회피 |
치료 태도 | 문제 해결 | 수용과 자각 강조 |
8. MBCT의 기대 효과
우울 재발 감소 | 특히 3회 이상 재발 경험자에서 효과 큼 |
반추 사고 감소 |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생각 줄이기 |
스트레스 조절 | 생리적 긴장 완화 및 감정 조절 향상 |
자기연민 향상 | 자기비난에서 벗어나 자기돌봄 능력 강화 |
불안 민감성 완화 | 불편한 감정에 대한 민감성과 회피 감소 |
9. 실무 적용 팁
- 내담자에게 명상을 ‘수행’이 아닌 **‘관찰 훈련’**으로 설명하기
- 처음엔 3~5분의 짧은 명상부터 시작 (호흡 주시, 감각 인식 등)
-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올 경우 도망이 아닌 수용을 안내
- 명상일지, 감정 기록지 등을 통해 자각 경험을 언어화하기
10. 요약
정의 | 명상 기반의 인지치료로, 현재 순간에 집중하며 사고·감정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 |
주요 기법 | 호흡 명상, 신체 스캔, 사고 관찰, 걷기 명상, 감정 라벨링 등 |
치료 원리 | 판단 없는 수용, 관찰, 거리두기 |
치료 효과 | 반추 감소, 우울 재발 방지, 자기연민 증가, 정서 조절력 향상 |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심리치료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관찰(Self-Monitoring) 기법 (1) | 2025.07.14 |
---|---|
문제해결 훈련(Problem-Solving Training, PST) (0) | 2025.07.13 |
과제부여 기법(Homework Assignment) (1) | 2025.07.11 |
역할연습(Role-Playing)과 모델링(Modeling) 기법 (0) | 2025.07.10 |
행동활성화(Behavioral Activation)기법 (1)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