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심리학289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은 불안 장애나 공포증(phobia)을 치료하기 위한 대표적인 행동치료 기법 중 하나로,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특정한 자극(예: 거미, 고소공포 등)에 대해 비합리적인 공포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사용됩니다. 1. 개념 정리체계적 둔감법은 심리학자 **조셉 볼피(Joseph Wolpe)**가 1958년에 개발한 기법으로,공포를 유발하는 자극에 대해 점진적으로 노출하면서 동시에 이완 반응을 학습시켜,기존의 공포 반응을 이완 반응으로 대체하도록 유도합니다.- 즉, "공포 자극 → 불안"의 고정 연결을 "공포 자극 → 이완"으로 바꾸는 것입니다.이러한 과정은 **역조건형성(counter-condition.. 2025. 5. 16.
로렌츠바이크의 그림좌절 검사(P-F Study) 1. 개요: 그림좌절 검사란?로렌츠바이크의 그림좌절 검사는 1930년대 심리학자 Saul Rosenzweig가 고안한 투사적 성격 검사로, 개인이 좌절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통해 공격 반응 양식과 적응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입니다.이 검사는 특정 좌절 상황이 묘사된 **만화 형태의 그림(일러스트)**에 대해 피검자가 어떤 식으로 반응하고 해석하는지를 기록하고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정서적 반응, 공격성의 방향, 방어기제의 특성 등을 추론합니다. 2. 검사 구성① 검사 도구 구성총 24장의 만화 형식의 그림 카드각 장면에는 두 사람이 등장하고, 한 명이 다른 사람에게 좌절 유발적 발언을 하는 상황피검자는 상대방(피해자)의 반응 대사를 적도록 요구받음② 검사 대상아동부터 성인까지 가능일반 성격 평가,.. 2025. 5. 15.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 : 병적인 거짓말 리플리 증후군이란?리플리 증후군은 지속적이고 병적인 거짓말과 허구적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공식 정신의학 진단명(예: DSM-5나 ICD-10)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사회적·심리적으로 주목받는 비공식 용어입니다.이 용어는 패트리샤 하이스미스(Patricia Highsmith)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The Talented Mr. Ripley)』 속 주인공 톰 리플리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고 다른 사람의 삶을 차지하기 위해 거짓과 범죄를 반복하며 결국 허구를 실제처럼 믿게 되는 인물입니다. 리플리 증후군의 주요 특징지속적인 거짓말반복적인 거짓말을 통해 자신을 과장하거나 왜곡된 정체성을 유지허구의 정체성 구축실제보다 나은 인물상을 만들고 그 .. 2025. 5. 14.
허언증 : 병적 거짓말(Pathological Lying) 병적 거짓말(Pathological Lying), 또는 **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 Mythomania)**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거짓말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적 현상 또는 증상입니다. 일반적인 거짓말과 달리, 병적 거짓말은 명확한 이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습관적이며 자기파괴적 성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단독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종종 성격장애나 다른 정신질환과 공병(comorbidity) 관계를 갖기도 합니다. 1. 정의 및 개념병적 거짓말은 환상이 섞인 거짓말을 습관적으로, 반복적으로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단순한 ‘거짓말쟁이’와는 달리, 스스로도 어느 정도 믿고 있는 경우가 많고,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1891년 Anton Delbrück.. 2025. 5. 14.
로르샤흐 잉크반점 검사(Rorschach Inkblot Test) 로르샤흐 잉크반점 검사(Rorschach Inkblot Test)는 투사적 성격검사(projective personality test)의 대표적인 예로, 피검자의 무의식적인 사고, 감정, 갈등, 성격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고안된 심리검사입니다. 1. 개요 및 역사개발자: 헤르만 로르샤흐(Hermann Rorschach), 스위스 정신과 의사출판년도: 1921년 『Psychodiagnostik』이론적 기반: 정신분석학, 특히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과 관계됨목적: 개인의 정서, 사고양식, 대인관계, 자아 기능 등을 무의식적으로 드러내게 하여 성격 진단과 병리 평가에 활용2. 검사 도구총 10장의 잉크반점 카드흑백 카드: 5장컬러 카드 (빨강, 파랑 등): 5장대칭 구조: 좌우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의도적.. 2025. 5. 13.
특수기억검사(special memory tests) 특수기억검사(Special Memory Tests)란?특수기억검사는 일반적인 지능검사나 인지기능검사와는 달리, 기억 능력만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신경심리검사(neuropsychological test)**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뇌 손상 또는 퇴행성 질환(예: 알츠하이머병, 외상성 뇌손상 등) 평가경도인지장애(MCI) 또는 치매 감별특정 뇌 영역(예: 측두엽, 해마)의 기능 이상 진단기억 관련 심리적 장애(예: 해리성 기억상실) 평가 검사 목적기억 체계의 구분 평가 단기기억 (Short-Term Memory) 장기기억 (Long-Term Memory) 일화기억 (Episodic Memory) 의미기억 (Semantic Memory) 절차기억 (.. 2025. 5. 13.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