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심리학290

비네검사(Binet 검사) : 지능검사 비네검사(Binet 검사)는 지능검사의 시초로 알려진 심리측정 검사로, 인간의 지적 능력을 계량화하기 위한 최초의 표준화된 지능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프랑스의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 와 테오도르 시몽(Théodore Simon) 에 의해 1905년에 개발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수정되어 현대 지능검사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1. 비네검사의 개발 목적비네검사는 원래 학교 교육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조기에 선별하여, 그들에게 특별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프랑스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정상적인 지적 발달을 하지 못한 아동을 판별하는 도구로 시작되었습니다. 2. 주요 특징 1) 정신연령(Mental Age, MA) 개념 도입비네검사는 아동이 수행할 수 있는 .. 2025. 5. 8.
사이버불링(Cyberbullying, 사이버 괴롭힘) 1. 정의**사이버불링(Cyberbullying)**이란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메신저, 온라인 게임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특정 개인을 반복적으로 괴롭히거나 위협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전통적인 대면 괴롭힘과는 달리, 시간·공간의 제약 없이 지속적으로 피해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2. 주요 형태비방 (Defamation)온라인 게시판, 댓글, 커뮤니티 등을 통해 특정인을 험담하거나 허위사실을 퍼뜨림괴롭히는 메시지 전송욕설, 협박, 조롱 등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내 피해자를 정신적으로 압박신상털기(Doxing)개인 정보(주소, 전화번호, 가족관계 등)를 무단으로 공개가짜 계정 생성피해자를 모욕하거나 조롱하기 위해 가짜 SNS 계정을 만들어 활동집단 따돌림 (Online Ost.. 2025. 5. 7.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확증편향‘’**은 인지심리학과 사회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사람들이 자신이 이미 믿고 있는 정보나 신념을 확인해 주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그에 반대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하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1. 정의 요약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어떤 주장이나 믿음을 형성한 이후, 그것을 확인하는 정보에 더 주의를 기울이고, 반대되는 증거나 정보는 무시하거나 덜 중요하게 여기는 인지적 편향. 2. 발생 원인확증편향은 여러 인지적, 정서적 메커니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인지적 효율성뇌는 복잡한 세상을 단순화하려 하며, 기존 신념을 유지하면 사고가 덜 피로함.정체성 보호어떤 신념은 개인의 정체성과 연결되어 있어, 반대 정보는 위협처럼 느껴짐.사회적 소속감특정 집단의 신념.. 2025. 5. 7.
ADHD vs 운동과다장애의 진단 기준 비교 다음은 **DSM-5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ICD-10의 운동과다장애(Hyperkinetic Disorder)**의 진단 기준 비교표입니다.두 진단 체계는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진단의 포괄성, 진단 항목 수, 요구되는 증상 기준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DSM-5 vs ICD-10 진단 기준 비교표공식 명칭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DSM-5 Hyperkinetic Disorder (운동과다장애) : ICD-10 진단 코드F90.0~F90.2 등F90.0하위 유형① 주의력결핍형② 과잉행동/충동형③ 혼합형하위 유형 없음 (모든 증상 필수)진단 영역① 주의력결핍② 과잉행동/충동성 (분리 가능)① 주의력결핍② 과잉행동③ 충동성 (모두 포함되어야 함)증상 개수 요건각 범주에서.. 2025. 5. 7.
아동 운동과다장애(Hyperkinetic Disorder in Children) ‘아동 운동과다장애(Hyperkinetic Disorder in Children)’는 일반적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ICD-10 진단 체계에서는 ADHD보다 더 좁고 엄격한 개념으로 정의됩니다. 1. 정의 및 진단 체계**ICD-10(국제질병분류)**에서는 이 장애를 F90.0: Hyperkinetic Disorder라고 하며,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충동성이 모두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만 진단됩니다.반면 **DSM-5(미국 정신의학회)**에서는 ADHD라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주의력결핍형, 과잉행동형, 혼합형으로 나누어 진단합니다.즉, ICD-10의 운동과다장애는 DSM-5.. 2025. 5. 6.
아동 기분장애(Mood Disorders in Children) 아동 기분장애는 성인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동 기분장애(Mood Disorders in Children)란?기분장애는 기분 상태의 극심한 변화가 지속되며, 일상생활, 학업,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정신건강 질환입니다. 아동의 경우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어, 성인과는 **다른 증상 형태(행동화, 신체화)**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아동 기분장애 유형주요우울장애 (MDD)2주 이상 지속되는 심한 우울감, 흥미 상실, 자기 비하, 집중력 저하 등. 아동은 슬픔보다 ‘짜증’, ‘분노’로 표현되는 경우 많음기분 부전장애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Dysthymia)최소 1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2025. 5. 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