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노출증 장애(exhibitionistic disorder)는 타인에게 자신의 성기나 신체를 노출함으로써 성적 흥분을 느끼는 **성도착 장애(paraphilic disorder)**의 한 유형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출의 대상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성기를 보게 되는 낯선 사람이며, 이 행위는 당사자에게 성적 만족이나 긴장을 해소하는 수단이 됩니다.
1. 정의 및 진단 기준 (DSM-5 기준)
DSM-5에 따르면, 노출증 장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핵심 진단 기준:
- 6개월 이상 동안 반복적으로, **타인(주로 낯선 사람)**에게 자신의 성기를 노출시키고 싶은 강한 성적 충동이나 환상, 행동이 존재함.
- 이 성적 충동이나 행동이 실제로 행동으로 나타났거나, 이로 인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고통이나 사회적·직업적 기능 장애가 초래됨.
- 대상자는 보통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노출하는 데서 흥분을 느낌.
2. 하위 유형
노출증 장애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기도 합니다:
- 성기를 실제로 노출하는 유형: 공공장소나 거리 등에서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보여주며 성적 흥분을 느낌.
- 노출 행동은 하지 않지만 환상이나 충동이 지속되는 경우: 실제 행동 없이도 이로 인해 고통을 겪는 경우.
3. 특징 및 관련 행동
- 행동 특성: 성적 접촉을 시도하지 않고, 대부분 도망가거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만족을 느끼는 경향.
- 성적 흥분 유발 요인: 상대방의 놀람 반응, 공포감, 혼란스러워하는 모습 등.
- 고립된 행동이 아닐 수 있음: 일부는 **관음증(voyeurism)**이나 자기 노출 자위행위와 동반되기도 함.
- 충동 조절 장애의 측면도 있음.
4. 원인 및 심리역학
① 심리학적 요인:
- 불안이나 스트레스 해소 수단으로써의 성도착 행동.
- 성적 자존감 결핍과 성적 대인관계의 어려움.
- 유년기의 성적 억압, 권위자에 대한 분노 등이 투사될 수 있음.
② 생물학적 요인:
- 도파민 기능 이상, 전두엽 손상 등 충동 조절 장애와 연관 가능성 제기.
- 기타 정신질환(예: 우울증, 양극성 장애, ADHD)과의 동반 빈도가 높기도 함.
5. 치료 방법
▶ 심리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왜곡된 인지 교정 및 충동 조절 기술 습득.
- 노출 반응 예방(ERP) 기법 적용 가능.
- 심리역동적 치료: 억압된 감정과 초기 경험을 탐색.
▶ 약물치료:
- 항안드로겐제: 성적 충동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됨 (예: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 SSRI계 항우울제: 강박적 성충동 조절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
▶ 기타:
- 반복적인 법적 문제가 있는 경우 법적 관리와 병행 치료 필요.
6. 법적 및 사회적 쟁점
- 공연음란죄에 해당하여 형사처벌 대상이 되며, 재범률이 높은 경우 성폭력범으로 등록될 수 있음.
- 성범죄자 재범 방지 프로그램 등과 연계된 심리적 개입이 중요함.
7. 유사 성도착 장애와 비교
주요 행동 | 타인에게 성기 노출 : 노출증 | 타인의 사적 행위 관찰; 관음증 | 타인을 몰래 만지거나 문지름 : 접촉도착증 |
대상 반응 | 놀람/공포 | 무의식적 대상 | 무의식적 대상 |
접촉 여부 | 없음 | 없음 | 있음 |
공통점 | 비동의적 대상에게 성적 흥분을 느낌 |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이상심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너 증후군(Kanner syndrome) : 자폐증 (0) | 2025.04.15 |
---|---|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0) | 2025.04.15 |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0) | 2025.04.14 |
정신분열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PD) (0) | 2025.04.14 |
성정체감 장애(성별 정체감 장애 or 성불일치라고도 함)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