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노출증 장애(exhibitionistic disorder)

by bluegreen57 2025. 4. 14.
728x90
반응형
SMALL

노출증 장애(exhibitionistic disorder)는 타인에게 자신의 성기나 신체를 노출함으로써 성적 흥분을 느끼는 **성도착 장애(paraphilic disorder)**의 한 유형입니다. 일반적으로 노출의 대상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성기를 보게 되는 낯선 사람이며, 이 행위는 당사자에게 성적 만족이나 긴장을 해소하는 수단이 됩니다.


 1. 정의 및 진단 기준 (DSM-5 기준)

DSM-5에 따르면, 노출증 장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

▶ 핵심 진단 기준:

  1. 6개월 이상 동안 반복적으로, **타인(주로 낯선 사람)**에게 자신의 성기를 노출시키고 싶은 강한 성적 충동이나 환상, 행동이 존재함.
  2. 이 성적 충동이나 행동이 실제로 행동으로 나타났거나, 이로 인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고통이나 사회적·직업적 기능 장애가 초래됨.
  3. 대상자는 보통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 노출하는 데서 흥분을 느낌.

 2. 하위 유형

노출증 장애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기도 합니다:

  • 성기를 실제로 노출하는 유형: 공공장소나 거리 등에서 낯선 사람에게 성기를 보여주며 성적 흥분을 느낌.
  • 노출 행동은 하지 않지만 환상이나 충동이 지속되는 경우: 실제 행동 없이도 이로 인해 고통을 겪는 경우.

 3. 특징 및 관련 행동

  • 행동 특성: 성적 접촉을 시도하지 않고, 대부분 도망가거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만족을 느끼는 경향.
  • 성적 흥분 유발 요인: 상대방의 놀람 반응, 공포감, 혼란스러워하는 모습 등.
  • 고립된 행동이 아닐 수 있음: 일부는 **관음증(voyeurism)**이나 자기 노출 자위행위와 동반되기도 함.
  • 충동 조절 장애의 측면도 있음.

 4. 원인 및 심리역학

① 심리학적 요인:

  • 불안이나 스트레스 해소 수단으로써의 성도착 행동.
  • 성적 자존감 결핍성적 대인관계의 어려움.
  • 유년기의 성적 억압, 권위자에 대한 분노 등이 투사될 수 있음.

② 생물학적 요인:

  • 도파민 기능 이상, 전두엽 손상 등 충동 조절 장애와 연관 가능성 제기.
  • 기타 정신질환(예: 우울증, 양극성 장애, ADHD)과의 동반 빈도가 높기도 함.

 5. 치료 방법

▶ 심리치료:

  • 인지행동치료(CBT): 왜곡된 인지 교정 및 충동 조절 기술 습득.
  • 노출 반응 예방(ERP) 기법 적용 가능.
  • 심리역동적 치료: 억압된 감정과 초기 경험을 탐색.

▶ 약물치료:

  • 항안드로겐제: 성적 충동을 감소시키는 데 사용됨 (예: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 SSRI계 항우울제: 강박적 성충동 조절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음.

▶ 기타:

  • 반복적인 법적 문제가 있는 경우 법적 관리와 병행 치료 필요.

 6. 법적 및 사회적 쟁점

  • 공연음란죄에 해당하여 형사처벌 대상이 되며, 재범률이 높은 경우 성폭력범으로 등록될 수 있음.
  • 성범죄자 재범 방지 프로그램 등과 연계된 심리적 개입이 중요함.

 7. 유사 성도착 장애와 비교

주요 행동 타인에게 성기 노출 : 노출증 타인의 사적 행위 관찰;  관음증 타인을 몰래 만지거나 문지름 : 접촉도착증
대상 반응 놀람/공포 무의식적 대상 무의식적 대상
접촉 여부 없음 없음 있음
공통점 비동의적 대상에게 성적 흥분을 느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