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이상심리장애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by bluegreen57 2025. 4. 15.
728x90
반응형
SMALL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s)는 언어, 말, 청각, 비언어적 표현 등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장애는 주로 아동기에 발병하며, 사회적 상호작용, 학업, 직업적 기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서는 의사소통 장애를 다음과 같이 주요 하위유형으로 분류합니다.


 1.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 정의: 어휘력, 문법적 구조, 언어 이해 및 표현 등 언어 발달 전반에 문제가 있는 상태
  • 특징:
    • 연령에 비해 단어 수가 적거나, 문장을 제대로 구성하지 못함
    •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전개하기 어려움
    • 지능과는 무관하게 언어적 표현이 현저히 낮음
  • 진단 시 고려 사항: 청각 문제나 지적장애로 인한 언어 지연과는 구분 필요

 2. 말소리장애(Speech Sound Disorder)

  • 정의: 나이에 적절한 방식으로 말소리를 산출하지 못함
  • 특징:
    • ‘ㄹ’을 ‘ㄴ’으로 발음하거나, ‘바나나’를 ‘바야야’처럼 말함
    • 말이 부정확해 의사소통에 방해가 됨
    • 발성기관의 구조적 결함 없이 발생 가능

 3. 말 더듬(유창성 장애, Childhood-Onset Fluency Disorder)

  • 정의: 말의 유창성에 지속적이고 현저한 문제가 있음
  • 특징:
    • 음절 반복(“나, 나, 나 그거”), 단어 반복, 연장(“그으으거”), 막힘(말이 멈춤)
    • 긴장된 얼굴, 말하기 회피
    • 일반적으로 6세 전후에 발병
  • 감별진단: 일반적인 유아기의 정상적 말 더듬 현상과 구별 필요

 4.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 정의: 언어를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에 장애가 있음
  • 특징:
    • 대화의 전환, 타인의 시선 이해, 맥락에 맞는 말투 사용이 어려움
    • 예를 들어, 농담이나 은유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상황에 따라 말을 조절하지 못함
    •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구분되어야 함 (반복행동이나 제한된 관심사는 없음)

 5. 미분류 의사소통 장애(Unspecified Communication Disorder)

  • 위의 분류 중 어떤 범주에도 완전히 들어맞지 않지만, 임상적으로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경우

 원인 및 관련 요인

  • 신경생물학적 요인: 언어 관련 뇌 영역의 기능 이상
  • 유전적 요인: 가족력 존재 시 위험 증가
  • 심리사회적 요인: 언어 자극 부족, 양육환경
  • 청각 장애: 언어습득에 중요한 청력 이상

 진단 및 평가

  • 언어심리검사, 청력검사, 지능검사, 발달사 확인 등 종합적 접근이 필요
  • 언어치료사나 심리사의 전문적 평가 필요

 치료 및 개입

  • 언어치료(Speech-Language Therapy): 조기 개입이 핵심
  • 인지-행동 접근법: 말더듬이나 불안 동반 시 유용
  • 부모 교육 및 가정 내 훈련: 지속적인 언어 자극과 격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