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캐너 증후군(Kanner syndrome)은 오늘날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자폐증의 고전적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명칭은 1943년 미국의 정신과 의사 레오 캐너(Leo Kanner)가 처음으로 보고한 자폐증 케이스에서 유래하였습니다.
1. 정의 및 역사적 배경
- **캐너 증후군(Kanner’s syndrome)**은 전형적인 자폐증(고전적 자폐, classic autism)을 의미합니다.
- 레오 캐너는 11명의 아동을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공통된 특성을 기술하였습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 의사소통의 문제
-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
- 이후 "조기 유아 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이라는 용어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2. 주요 증상 (현대 자폐 진단 기준의 기초가 됨)
사회적 상호작용 | 타인과의 눈 맞춤 회피, 감정 교류 부족, 친구 사귀기 어려움 |
언어 및 의사소통 | 언어 발달 지연, 비정상적 억양, 반향어(echolalia), 상징적 언어 사용 부족 |
행동 패턴 | 반복적인 움직임(손 흔들기 등), 강박적 루틴, 사소한 변화에 대한 과민 반응 |
지적 기능 | 보통 지적 장애를 동반하지만, **일부 특정 영역에선 뛰어난 능력(savantism)**을 보이기도 함 |
3. 캐너 증후군 vs 아스퍼거 증후군
언어 발달 | 지연 있음 : 캐너 증후군 | 초기 언어 발달 정상 : 아스퍼거 증후군 |
지능 | 다양한 지적 수준, 종종 지적 장애 동반 | 평균 이상 지능 많음 |
사회성 | 심각한 사회적 상호작용 결함 | 다소 괴짜 같지만 상호작용 시도함 |
진단 연령 | 유아기 (3세 이전) | 아동기 이후 (6세 이상) |
※ 현재는 둘 다 DSM-5 기준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로 통합되었습니다.
4. 원인
- 명확한 단일 원인은 없으며, 다인자적 원인으로 이해됩니다:
- 유전적 요인: 가족력, 유전자 돌연변이
- 신경발달 이상: 뇌의 특정 구조 및 기능 이상
- 환경적 요인: 임신 중 감염, 독성 노출 등
5. 치료 및 중재
캐너 증후군 자체는 완치 개념이 아닌, 평생 지속될 수 있는 발달장애로 이해되며, 다음과 같은 조기 중재가 핵심입니다:
- 행동 치료 (ABA 등) : 반복 행동 감소 및 사회성 증진
- 언어치료 및 사회성 훈련
- 특수교육 및 가족 지원
- 필요시 약물 치료 (불안, 충동성, 자해 등 조절 목적)
요약
정의 | 고전적 자폐증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 |
증상 |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의사소통 결함, 반복적 행동 |
특징 | 조기 발병, 지적장애 동반 가능성 높음 |
진단 | DSM-5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통합 |
치료 | 조기 행동중재, 언어치료, 특수교육 중심 |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이상심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장애(Movement Disorders) (0) | 2025.04.15 |
---|---|
특수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SLD) (0) | 2025.04.15 |
의사소통 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0) | 2025.04.15 |
노출증 장애(exhibitionistic disorder) (0) | 2025.04.14 |
정신분열형 성격장애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