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는 정신의학에서 일상적인 삶의 스트레스 사건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해 심리적 고통이나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정신질환과 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며, 잘 관리하면 회복이 빠른 편입니다.
정의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는
일정한 **스트레스 요인(예: 이혼, 이사, 실직, 입학, 질병, 경제적 어려움 등)**에 대한 반응으로,
그에 비해 과도한 정서적 또는 행동적 증상이 3개월 이내에 나타나며,
사회적, 직업적, 또는 학업적 기능에 현저한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진단 기준 (DSM-5 기준 요약)
- 식별 가능한 스트레스 요인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증상 시작
- 증상은 다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
- 고통이 스트레스 요인에 비해 과도하거나 지나치게 불균형
- 사회적, 직업적, 학업적 기능 저하
- 이 반응은 다른 정신질환(예: 주요우울장애, PTSD 등)으로 설명되지 않음
- 증상은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진 후 6개월을 넘기지 않음
주요 증상 유형 (DSM-5 하위유형)
적응장애, 우울 기분을 동반한 유형 | 슬픔, 절망감, 눈물 등 우울감 |
불안 기분을 동반한 유형 | 긴장감, 걱정, 초조함 |
불안 및 우울 혼합형 | 불안과 우울이 동시에 존재 |
행동장애형 | 싸움, 무단결석, 규칙 위반 등 외현적 문제 |
혼합형 | 위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남 |
미분화형 | 명확한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음 |
원인
적응장애는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합니다.
같은 스트레스 요인이라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며, 심리적 취약성, 이전 트라우마, 사회적 지지 부족, 성격 특성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감별진단
주요우울장애 | 원인 없이도 증상 지속, 더 심각하고 지속적 |
PTSD | 생명의 위협이 되는 외상 이후 발생, 플래시백 등 포함 |
불안장애 | 뚜렷한 스트레스 요인 없이도 지속적 불안 |
정상 반응 | 일시적인 반응이며 기능 저하가 심하지 않음 |
치료
- 심리치료 (1차적 접근)
- 지지적 상담: 감정 표현과 수용, 위로 중심
- 인지행동치료 (CBT): 비합리적 사고 수정 및 대처 전략 강화
- 문제 해결 중심 치료: 실질적인 대처 기술 습득
- 약물치료 (필요시)
- 불안/우울 증상이 심할 경우 단기적으로 항우울제나 항불안제 사용 가능
- 스트레스 관리 교육 및 환경 조정
- 일상 구조화, 스트레스 유발 요인 조절, 사회적 지지망 확보
예후
-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면 대부분 수 개월 내에 회복됨
- 하지만 스트레스 요인이 지속되거나 개인적 취약성이 크다면 만성화되거나 주요정신질환으로 이행할 가능성도 있음
728x90
반응형
LIST
'심리학 > 이상심리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스트레스 장애(ASD) (0) | 2025.04.19 |
---|---|
반응성 애착장애(RAD) (0) | 2025.04.19 |
뮌하우젠 증후군: 병원 순례자(hospital hopper) (0) | 2025.04.19 |
혈관성 질환 (0) | 2025.04.19 |
테이 삭스 질환(Tay-Sachs disease) : 희귀한 유전성 신경퇴행성 질환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