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망상장애(Delusional Disorder)란?
망상장애(妄想障碍, Delusional Disorder)는 현실과 맞지 않는 강한 믿음(망상)을 가지지만, 그 외의 정신기능은 비교적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정신 질환입니다. 망상은 논리적으로 반박해도 쉽게 수정되지 않으며, 환자는 자신의 믿음을 굳게 신뢰합니다.
1. 주요 특징
- 망상의 지속성: 적어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망상이 존재합니다.
- 비현실적이지만 일관된 사고: 망상 이외의 사고나 행동은 비교적 정상적이며, 환각(특히 청각 환각)이 동반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 현실과의 괴리: 망상 내용은 비현실적이지만, 조현병(정신분열증)처럼 완전히 괴리된 사고를 보이진 않습니다.
- 사회적 기능 유지 가능: 망상이 심하지 않다면, 직장이나 사회생활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2. 망상의 종류
망상장애는 망상의 내용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뉩니다.
① 피해형(Paranoid Type)
- 자신이 누군가에게 감시당하거나 해를 입고 있다고 믿음.
- 예: "정부가 나를 감시하고 있다.", "이웃이 나를 해치려 한다."
② 과대형(Grandiose Type)
- 자신이 특별한 능력이나 지위, 신분을 가지고 있다고 믿음.
- 예: "나는 신의 선택을 받은 사람이다.", "내가 세상을 구할 운명이다."
③ 질투형(Jealous Type)
- 배우자나 연인이 자신을 속이고 바람을 피우고 있다고 확신하는 경우.
-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을 의심하고 감시하는 행동이 나타남.
④ 색정형(Erotomanic Type)
- 유명인이나 특정 인물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고 믿음.
- 상대방이 관심이 없거나 부정해도 망상을 유지함.
⑤ 신체형(Somatic Type)
- 자신의 신체가 병들었거나 기형적 변화가 생겼다고 믿음.
- 예: "내 장기가 썩고 있다.", "내 피부 아래에 벌레가 기어 다닌다."
⑥ 혼합형(Mixed Type)
- 위의 여러 유형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3.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생물학적 요인
-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 뇌의 특정 부위(편도체, 측두엽) 기능 이상
- 유전적 요인
- 가족력(특히 조현병, 기분장애 병력이 있는 경우)
- 심리적·환경적 요인
- 외로움, 스트레스, 트라우마
- 사회적 고립이나 소외 경험
4. 치료 방법
망상장애는 환자가 자신의 망상을 현실로 믿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이 활용됩니다.
① 약물 치료
- 항정신병제(Antipsychotics): 리스페리돈, 올란자핀, 아리피프라졸 등
-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또는 항불안제(Anxiolytics) 병용 가능
②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 망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도록 유도하고, 왜곡된 사고를 수정하는 치료법
- 환자의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치료자의 접근법이 중요함
③ 가족 치료 및 환경 조성
- 가족이 환자의 망상을 직접 반박하기보다는 지지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
-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스트레스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
5. 망상장애와 유사한 질환과의 차이
질환 주요 특징
망상장애 | 망상 외에는 비교적 정상적인 사고 유지 |
조현병 | 망상 + 환각(특히 청각 환각), 감정 둔화, 와해된 언어 및 행동 |
양극성 장애(조증) | 과대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기분의 급격한 변화 동반 |
강박장애(OCD) | 비합리적인 생각이 반복되지만, 본인이 이를 인식하고 있음 |
신체이형장애 | 자신의 외모 결함을 과장하여 믿음(망상장애의 신체형과 유사) |
6. 망상장애가 있는 사람과의 관계 맺기
- 직접적으로 망상을 반박하지 않는다: 논리적으로 설득하려 하면 오히려 방어적으로 변함.
- 안정적인 환경 제공: 스트레스를 줄이고,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돕기.
- 전문가의 도움 유도: 환자가 신뢰하는 사람을 통해 치료를 설득하는 것이 효과적.
결론
망상장애는 지속적이고 강한 망상을 특징으로 하지만, 다른 정신기능은 비교적 유지됩니다. 치료가 쉽지는 않지만, 약물과 심리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환자와의 관계에서는 망상을 정면으로 반박하기보다 신뢰를 형성하면서 치료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