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은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페미니스트 이론가로,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도덕 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으로 주목받았습니다. 그녀의 대표 저서 **『다른 목소리로(In a Different Voice, 1982)』**는 여성의 도덕성과 심리적 발달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며, 여성 심리학과 윤리학, 페미니즘 담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책의 배경과 의의
기존 도덕 발달 이론에 대한 비판
길리건은 오랜 기간 콜버그와 함께 연구했으며, 그의 도덕 발달 6단계 이론이 남성 중심적이라는 점을 문제 삼았습니다. 콜버그의 이론은 보편적 정의, 규칙, 추상적 원칙을 기준으로 도덕성의 성숙도를 판단했는데, 이 기준은 주로 남성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도출된 것이었습니다. 여성은 그의 기준에 따라 "낮은 단계"에 머무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여성의 도덕적 사고가 열등하다는 암시로 해석될 수 있었습니다.
여성의 목소리: "관계의 윤리"
길리건은 여성들이 도덕적 딜레마에 접근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동등하게 정당하다고 주장합니다. 여성은 추상적 원칙보다 관계, 배려, 책임에 기반하여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결코 도덕적 미성숙이 아니라 다른 도덕적 패러다임이라는 것입니다.
2. 『다른 목소리로』의 주요 내용
연구 방법
길리건은 다양한 연령대와 계층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했으며, 특히 임신 중절을 고민하는 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그들의 사고방식을 분석했습니다.
여성의 도덕 발달 단계 (배려의 윤리적 발달)
길리건은 여성의 도덕적 발달이 **배려(care)**를 중심으로 전개된다고 보았고, 다음과 같은 단계를 제시했습니다:
- 자기중심적 단계
- 자신의 생존과 복지를 우선시
- 타인의 필요는 고려하지 않음
- 이타적 자기희생 단계
- 타인의 요구와 기대에 과도하게 반응
- 자기 자신은 희생되어야 한다고 여김
- 균형과 책임의 단계
- 자신과 타인의 요구를 균형 있게 고려
- 책임과 배려의 윤리를 통합함
이는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처럼 위계적이라기보다는, 관계의 맥락에 따라 반복되고 순환하는 구조로 이해됩니다.
◼︎ 정의의 윤리 vs. 배려의 윤리
길리건은 도덕성에는 두 가지 언어가 존재한다고 봤습니다:
주로 남성에게서 나타남 : 정의의 윤리 (Justice) | 주로 여성에게서 나타남 : 배려의 윤리 (Care) | |
추상적 원칙, 권리, 공정성 | 관계, 배려, 책임 | |
"무엇이 옳은가?" | "누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
규칙과 법의 적용 | 상황의 맥락 이해 |
길리건은 이 두 윤리를 대립시키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이며 모두 도덕적 성숙의 한 양상이라고 보았습니다.
3. 학문적 영향 및 비판
영향력
- 여성주의 심리학, 여성학, 교육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반향을 일으킴
- 페미니즘 제2물결의 핵심 이론 중 하나로 자리매김
- '배려 윤리(Ethics of Care)' 이론의 토대가 됨 (나중에 넬 노딩스, 조앤 트론토 등에게 계승됨)
비판
- 성별에 따라 도덕적 사고가 구분된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결정론으로 오해될 소지
- 후기 페미니즘에서는 성별 이분법 자체를 해체하는 입장들이 등장하며, 길리건의 이분법적 접근을 너무 고정적이라고 비판
- 일부 심리학자들은 그녀의 데이터가 질적으로 풍부하긴 하지만, 일반화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을 함
4. 길리건의 이후 작업과 확장
- 이후 저서들에서는 목소리와 정체성, 민주주의, 도덕 교육에 대한 논의를 확장
- 『The Birth of Pleasure』(2002)에서는 사랑과 진실, 자유의 연결에 대해 논하며 도덕적 상상력의 회복을 주장
요약
캐롤 길리건은 『다른 목소리로』를 통해 기존의 남성 중심 도덕 이론에 도전하며, 여성의 도덕성은 배려와 관계 중심의 독자적인 틀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녀의 이론은 단순한 성별 차이의 기술을 넘어, 도덕적 사고에 대한 **다성성(plurality)**을 강조하며, 도덕교육, 여성주의 윤리학, 심리학에 깊은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심리학 > 심리학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븐 핑커의 『언어본능(The Language Instinct, 1994)』 (0) | 2025.04.12 |
---|---|
에드거 샤인의 『조직문화와 리더십』 (0) | 2025.04.12 |
앤젤라 더크워스(Angela Duckworth) : 심리학자 : 『그릿(Grit): IQ, 재능을 뛰어넘는 열정과 끈기의 힘』 (0) | 2025.04.12 |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의 『빈 서판(The Blank Slate)』 (2) | 2025.04.11 |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 : 인지심리학자 (0) | 2025.04.11 |